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비타민 D와 (유방)암 - 대체의학 치료1 [정종을박사의 대체의학]

정종을 척추 신경의 / 대체의학 박사

미식약청FDA가 승인한 암치료 방법은 수술 , 키모테라피 (chemotherapy), 방사선(radiation therapy)만이 가능하다. 아래 제시한 대체치료법은 기존의 일반적 치료법에 대한 대안이 아니며 기존의 치료법에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거나 기존의 치료법조차 더 이상 적용하기 힘든 말기 암 환자나 그 가족에게 치유의 희망을 주기 위한 치료법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제시한 어떠한 방법도 기존의 암 치료법에 비해 더 나은 치유를 보장하지 못하며 기존 의학계에서 인정하지 않는 부분도 많다는 것을 먼저 밝힌다.

비타민 D(vitamin D)는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비타민은 아니며 굳이 분류해 말한다면 지용성인 호르몬의 전구 물질 (a group of fat-soluble prohormones) 그룹이다. 우리몸에 중요한 Vitamin D는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D2 (Ergocalciferol)와 D3 (Cholecalciferol) 이다.

비타민D2는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고 비타민D3는 인체가 햇빛 자외선(특히 UVB 자외선)에 노출될 때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 체내 활성 비타민D는 칼시트리올 (calcitriol)인데 D2나 D3 모두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다. 인체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 비타민D 혈장 농도를 올리는 데는 D2보다 D3가 더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는데, D3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전구물질이다.

비타민D는 네 종류 형태 (cholecalciferol, calcidiol, calcitriol and ergocalciferol)가 존재하며 활성 비타민D (calcitriol, 1,25-dihydroxyvitamin D)와 저장형 비타민 D (calcidiol, 25-hydroxyvitamin D)가 존재 하기 때문에 특히 암환자의 경우 피검사 시 두 가지 형태의 비타민 D 레벨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활성 비타민 D (calcitriol)는 간에서 만들어지며 신장에서는 저장형 비타민 D (calcidiol, 25-hydroxyvitamin D)가 활성 비타민D (calcitriol, 1,25-dihydroxyvitamin D)로 바뀌어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높이고 혈액속 칼슘과 인산염 (phosphate)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무기질화작용 (mineralization), 세포 성장과 신경 근육을 성장 하는데 관여하며 염증을 낮춰지며 면역 기능을 높이는데도 관여한다.

저장형 비타민 D (calcidiol, 25-hydroxyvitamin D)가 낮으면 뼈를 부드럽고 약하게 만들어 아동에게는 구루병(rickets), 성인에게는 골연화증 (osteomalacia)이 나타나고 이로인해 골다공증이 일어난다.

유방암과 비타민D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 30년동안 암과 비타민 D를 연구한 세드릭 갈랜드 박사 (Dr. Cedric Garland of UC San Diego School of Medicine and Moores Cancer Center) 논문에 의하면 비타민 D 레벨이 40-50 ng/ml 유지하면 50% 유방암을 예방할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07년 존 라페 박사 연구에서 1,100명의 폐경기 여성에게 비타민 D와 칼슘을 섭취하게 한 그룹과 플라세보(placebo, 가짜약)를 섭취하게 한 그룹 사이에서 유방암 발병 비율의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암환자들의 경우 비타민 D의 혈중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은 비타민D가 함유된 종합비타민 및 보조제를 통해서 뿐 아니라 음식을 통해서도 비타민 D를 섭취하게 되는데 생선, 달걀,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통해서도 섭취가 가능하다. 미국에서 비타민D 하루 복용 권장량이 50세 미만은 200 IU, 50~70세는 400 IU, 70세 이상은 600 IU이지만 대체의학에서는 피검사 결과에 따라 권장량을 다르게 처방하는데 보통 성인은 하루 2000 IU, 암환자인 경우에는 8000 IU 이상을 권장하여 혈중70-80ng/ml수준을 유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단, 비타민D를 과량 섭취시 부작용이 있는데 고칼슘혈증, 근육약화, 구토, 고혈압, 신장악화 (신부전증, 신결석, 신장석회화)가 있으며 임산부는 과다복용시 기형아 출산할수 있으며 비타민 D와 Barbiturates(진정제・최면제)등의 약을 동시 복용시 비타민 D 효과가 반감되며 Diuretics, Thiazide (이뇨제) 복용시 고칼슘혈증이 일어날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하여 피검사로 혈액속 비타민 D 수치를 확인한 후 복용량과 복용기간을 결정한다.

교회,회사, 여성 단체에서 세미나 신청하시면 선별하여 대체의학 세미나를 강의해 드립니다

E-mail: drjeung77@yahoo.com
홈페이지 바로가기 : Drjformula.com


References
1. Lappe JM, Travers-Gustafson D, Davies KM, et al.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ation reduces cancer risk: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 85(6):1586–1591.
2. Otten JJ, Hellwig JP, Meyers LD. Vitamin D.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The Essential Guide to Nutrient Requiremen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3. Institute of Medicine Standing Committee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Vitamin D.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Phosphorus, Magnesium, Vitamin D, and Fluorid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997.
4. Holick MF. Evolution and function of vitamin D. Recent Results in Cancer Research 2003; 164:3–28.
5. Calvo MS, Whiting SJ, Barton CN. Vitamin D for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Current status and data need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4; 80(6 Suppl):1710S–1716S.
6. Bener A, El Ayoubi HR. The role of vitamin D deficiency and osteoporosis in breast cancer. Int J Rheum Dis. 2012 Dec;15(6):554-61. doi: 10.1111/1756-185x.12017. Epub 2012 Dec 7. PubMed PMID: 23253239.
7. Indian J Endocrinol Metab. 2012 Nov;16(6):1047. doi: 10.4103/2230-8210.103039. Vitamin D and breast cancer. Karbasi A, Saburi 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aqiyatallah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Tehran, Iran.PMCID: PMC3510939 PMID: 23226665 [PubMed - in process]
8. Bilinski K, Boyages J. Association between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breast cancer risk in an Australian population: an observational case-contro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2 Dec 14.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3239153.
9. Kremer R, Campbell PP, Reinhardt T, Gilsanz V. Vitamin D status and its relationship to body fat, final height, and peak bone mass in young wome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9; 94(1):67–73.
10. Freedman DM, Looker AC, Chang SC, Graubard BI. Prospective study of serum vitamin D and cancer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 99(21):1594–1602.
11. Hartman TJ, Albert PS, Snyder K, et al. The association of calcium and vitamin D with risk of colorectal adenomas. Journal of Nutrition 2005; 135(2):252–259.
12. Gissel T, Rejnmark L, Mosekilde L, Vestergaard P. Intake of vitamin D and risk of breast cancer--a meta-analysis.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08; 111(3–5):195–199.
13. Chlebowski RT, Johnson KC, Kooperberg C, et al. Calcium plu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8; 100(22):1581–1591.
14. Freedman DM, Chang SC, Falk RT, et al. Serum levels of vitamin D metabolites and breast cancer risk in the Prostate, Lung, Colorectal, and Ovarian Cancer Screening Trial.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2008; 17(4):889–894.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