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렌트비로 소득의 50% 이상 지출' 25% 넘었다

임대주택 거주자 조사
가주·뉴저지·뉴욕 등
4개주는 30% 넘어서
전국 180만 가구는
소득의 70% 이상 지출
경제회복 걸림돌로


가계에서 렌트비와 유틸리티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비영리단체인 엔터프라이즈 커뮤니티 파트너스(ECP)가 센서스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현재 주택이나 아파트를 임대한 가구의 25% 이상이 렌트비와 유틸리티 비용으로 소득의 50%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

지난 1일 공개된 ECP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임대주택 거주 가구 가운데 소득 대비 주거비가 50% 이상인 가구는 2013년에 전국적으로 전체 가구의 26.6%(1125만 가구)로 늘었다. 그래프1 참조 2007년엔 24.2%였다. 또 주거비가 소득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렌트비 상승으로 인한 압박이 심각한 가구는 180만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렌트비 지출을 위해 식료품·개스비 지출까지 줄이고 있다.



'주거비 지출 50% 이상'은 실직 등의 위기상황이 닥치면 홈리스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수위로 해석된다. 이들의 비율은 조사 기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심각한 상황은 비슷하다. 임대주택 거주자와 주택 소유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방주택도시개발부의 통계에 따르면 주거비 지출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구는 1200만에 이른다. 하버드대학의 주거연구센터의 2013년 보고서에서도 주거비 지출 50% 이상 가구는 전체 임대주택 거주자의 약 27%였다. 이 보고서는 "(이는)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비율"이라고 지적했다.

주거비 지출 50% 이상 가구는 지역별로는 플로리다와 뉴저지, 가주, 뉴욕이 30%를 넘어서며 가장 심각했다. 플로리다주는 2007년 27.7%→2013년 30.3%로 증가해 전국에서 최악을 기록했다. 뉴저지주는 25.8%→30.1%로 악화됐고 가주는 26.6%→30%, 뉴욕주는 26.3%→30%로 늘었다.

소득별로 보면 전체 임대주택 거주 가구의 77%는 풀타임 노동자, 13%는 파트타임 노동자였다. 풀타임 노동자 기준 평균 소득은 4만6000달러였으며 평균 렌트비는 1만1520달러였다. 렌트비 부담을 비교적 적은 이들을 보면 풀타임은 88%, 파트타임은 7%였다. 풀타임 기준 평균 소득은 5만2000달러, 평균 렌트비는 1만1400달러였다. 렌트비 비중이 심각하게 높은 이들 중 풀타임은 44%, 파트타임은 30%였다. 풀타임 기준 평균 소득은 1만7000달러, 평균 렌트비는 1만2804달러였다.

렌트비 비중이 소득의 50%를 넘는 이들의 주로 종사하는 5개 업종은 요식업과 사무·행정직, 운송업, 어린이·노인케어, 빌딩·조경관리였다. 이들 가운데 가장 많은 이들은 요식업에 종사했으며 140만 명이 월평균 1756달러의 임금을 받았다.

연방노동부와 부동산 회사 질로우에 따르면 렌트비 상승율은 2010년말 이후 시간당 임금 상승률의 2배 가까이 치솟았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동안 임금 상승율은 2.1%였으나 지난주 질로우가 발표한 렌트비 상승율은 3.7%였다. 그래프2 참조

심각한 렌트비 부담 가중은 ▶소득이 렌트비 상승을 따라가지는 못 하고 ▶주택건설이 렌트 수요에 미치지 못 한다는 면에서 금융위기 이후 경제 회복이 아직 기본적인 주거문제조차 해결하지 못 하는 단계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와이오밍(17.1%)과 알래스카(17.2%), 사우스 다코다(18.3%) 3개 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주거비 지출 50% 가구가 20%를 넘어선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임대주택에 사는 가구 5곳 가운데 적어도 1곳은 소득의 50% 이상을 주거비에 쏟아붓는 현실은 불안한 경제회복 상황을 잘 반영한다. 렌트비 상승은 금융위기와 함께 불어닥친 대규모 주택차압과 해고로 많은 이들이 렌트 시장으로 몰려들면서 발생한 현상이라는 면에서 아직도 금융위기의 먹구름이 걷히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금융위기 이전 전체의 31%였던 임대주택에서 거주자가 아직까지 36%에 머물고 있는 것이 그 반증이다.

또 렌트 시장에서 공급부진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전국저소득층주거환경연맹은 전국적으로 저소득층용 아파트 710만 채가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저소득층 아파트 부족이 가장 심각한 주는 네바다와 가주, 애리조나, 오리건, 플로리다, 콜로라도, 유타였다. 연방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공급물량은 32만1333채로 올해도 아파트 물량부족은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렌트비 당분간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근거다.

일반적으로 주거비가 소득의 30%를 넘지 않아야 가계의 건전성이 유지된다고 볼 때 주거비 지출 50% 이상 가구 증가는 가계의 불안성이 크게 높일 것으로 해석된다. 주거비 상승은 또 결국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크게 줄여 임금이 어느 정도 상승해도 소비 증가로 이어지지 않아 경제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안유회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