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오늘은 아버지가 천국에 가신 날입니다.
글을 쓰기 전 잠시 아버지의 사진을 봤습니다. 지난 추억에 미소가 절로 지어집니다. 아버지의 멋진 모습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사실 지금이야 웃을 수 있지만 그땐 참 힘들었습니다. 건강했던 아버지가 갑자기 병으로 돌아가셨을 때는 그 어떤 것도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신이 원망스러웠습니다. 하늘을 향해 간절히 기도도 해봤고, 아버지가 살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나름 진실한 다짐도 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결국 눈을 감았습니다. 전 그 결과(죽음)를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이유를 찾으려고 발버둥쳤습니다. 신이 있다면 도대체 왜 그런 일을 허락했는지 말입니다.
질문은 오랜 시간 계속됐습니다. 사색을 위한 여행도 떠나봤고, 여러 책도 읽었습니다. 지인들과 밤을 새며 대화도 나눴습니다.
그래서 답을 찾았을까요. 아니요. 신은 저에게 철저히 침묵으로 일관했습니다.
삶이란 건 참 오묘합니다. 그렇게 미친 듯이 답을 구할 때는 알 수 없다가 어느 날 한참 시간이 흘러 무심코 지나온 길을 되돌아 보는데 많은 부분이 자연스레 이해가 되는 겁니다.
물론 제 경우와 달리 신은 인간의 물음에 대해 분명하게 알려줄 때도 있을 겁니다. 그렇다고 반드시 답을 획득할 수 있을까요. 어쩌면 어떤 일은 평생 그 이유를 모르고 살다가 그대로 눈을 감을 수도 있을 겁니다. 그게 바로 신이 존재하는 이유 아니겠습니까.
지식과 경험은 한계가 있습니다. 제한적인 인간의 사고가 신의 뜻을 다 이해한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만약 하늘의 섭리가 인간의 이성으로 완벽하게 설명될 수 있다면 신의 존재는 무의미하지 않겠습니까. 사람 스스로 전지전능해질 수 있겠지요.
인생길은 꼭 모든 게 납득 돼야만 걸어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보이는 게 전부도 아니고, 보이는 걸 그대로 볼 수도 없는 게 인간입니다.
저 높은 하늘을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는 비행기도 땅에서 보면 매우 느리게 지나갈 뿐입니다. 수십만 개의 세포가 몸 안에서 움직여도 피부에 가려 볼 수 없는 게 시각의 한계인데 세상 모든 이치를 어찌 완벽하게 이해하며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무한의 존재인 신 앞에서 유한한 인간이 단순히 체념하며 살자는 말이 아닙니다. 인생의 답이 '나'에게 있는 게 아니라 신에게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면 보기 때문에 믿는 게 아니라, 믿기 때문에 보이는 종교의 역설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우리를 겸손케 하고, 매일의 삶을 허투루 살 수 없게 합니다. 인생을 주도하는 것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분명히 알기 때문입니다.
희로애락의 인생길을 사유한다는 건 그런 게 아닐까 합니다. 새해가 되니 여기저기서 복을 빌며 행복한 한 해를 소망합니다. 그러나 앞길에 꼭 기쁨만 있는 건 아닐 겁니다. 슬픔도 공존합니다. 그게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올 한해 설령 이해되지 않는 일이 생기더라도 웃을 날은 다시 올 겁니다.
제가 아버지의 사진을 보며 미소지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김건모 성폭행' 주장女 인터뷰 공개…강용석 "피해자 또 있다"
정경심 재판부 "검찰, 자꾸 그러면 퇴정" 법정서 공개경고···왜
한인 남성 ‘물뽕 성폭행’ 체포
"폭행으로 안와골절, TV 안 나왔으면"…김건모, 성폭행 의혹 이어 추가 폭로 [종합]
[속보] '마약혐의' 홍정욱 딸, 징역 2년6개월·집행유예3년
'세계경영 기수'에서 추락까지, 비운의 기업인 김우중 별세
탄핵·북한에 속끓는 트럼프…딸 이방카마저 스캔들 터졌다
"정경심 기소 한달 지났다, 보석 검토" 법원, 검찰 늦장 질책
국회법 바꿔 '패트 처벌' 막는다는 김재원 꾀···여당 "헛된 꿈"
'엎친 데 덮쳤다' 김건모, 성폭행 의혹 ing→욕설 폭행 추가 의혹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