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오픈 업] 여의주의 비밀

서 랑 시인·정신과 의사

심형래 감독이 제작한 '디워'가 할리우드에 진출했다는 소식을 듣고 엊그제 뉴욕 북부 동네 극장에 가서 그 영화를 봤다.

이무기가 여의주를 물고 용이 되어 승천하는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여의주는 실눈을 지긋이 뜬 부처가 엄지와 검지로 그리는 구슬 모양이다. 소위 동양의 사상을 대표하는 곡선의 상징이다. 서양 건축양식이 하나같이 직사각형임에 반해 우리의 경복궁과 창덕궁 추녀가 그리는 부드러운 선을 보라. 그토록 우리의 사고방식은 둥글고 원활하다.

여의주는 요술을 부린다. 이무기가 여의주를 제 것으로 만드는 순간 용으로 탈바꿈하는 것은 참으로 멋진 매직이다.



매직(magic마술)은 14세기 말 희랍어로 '예술' 혹은 '기교'라는 뜻이었고 5500년 전에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전(前) 인도유럽 말로 '능력이 있다'는 뜻이었다. 같은 뿌리에서 온 현대어 'might'도 '힘'이라는 의미. 똑같은 어원에서 'machine'이라는 단어도 나왔다. 'machine'은 16세기경 불어 라틴어 희랍어에서 '속임수'라는 뜻이었다.

그리고 'machine'은 19세기 말에 남녀의 성기를 지칭하는 속어가 됐다. 우리식 발음으로 'magic'도 'might'도 'machine'도 하나같이 '마(魔)'자 돌림이다. 우리들의 성기는 기교를 부리고 힘이 있고 속임수를 쓰는 마술적인 올간(organ)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쯤해서 당신은 여의주의 한자를 유심히 관찰해 보라. 여자의 입 모습이 아닌가. '여(如)'는 옥편에 '같을 여'라 나와있다. 여자의 입들은 '같다'는 뜻이렸다. 여자들이 모여서 수다를 떨 때 립스틱 짙게 바른 그들이 입이 너무나 대동소이하지 않은가.

도깨비는 방망이를 들고 다니면서 요술을 부린다. 서구의 요술쟁이들도 늘 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그래서 영어로 요술방망이를 'magic wand'라 한다. 서유기에서 삼장법사의 신출귀몰한 수석보좌관을 하던 손오공이 손에 쥔 무기도 여의봉이었다. 이렇듯 손에 막대기를 들고 다니는 부류는 대체로 매직의 수준이 낮다. 저 오묘한 부처의 설법이 담긴 여의주가 일으키는 기적에 비하면 그야말로 새발의 피다. 막대기의 직설법이 구슬의 완곡한 어휘를 도저히 이길 수 없다. 여성적인 부드러움이 남성적인 과격성을 굴복시키는 법이다.

디워는 이무기들이 빚어내는 선과 악의 싸움이다. 어깨에 붉은 용이 문신 된 스무 살짜리 여자가 품고 있는 여의주를 쟁취하려는 뱀처럼 생긴 양서류들의 투쟁이다.

14세기 말에 'bead(염주)'는 '기도(prayer)'라는 뜻이었다. 염주는 염원을 실현시키는 소망이 아롱진 '같은 뜻(意)의 구슬'이었다.

'bead'에서 유래한 흔적으로 지금도 독일어를 쓰는 유럽에 관광을 가면 말끝마다 원주민들이 비테(bitte) 비테 하는 것을 당신은 들을 것이다. 'bitte'는 영어의 'please'에 해당하는 말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로 아쉬운 느낌이 들 때 그래서 무엇인가 부탁하거나 청원하고 싶을 때 우리는 불현듯 기도하고 염주를 만지고 여의주를 얻고 싶어 한다. 심형래의 이무기가 찬란한 여의주를 입에 물고 너울너울 승천하는 마음으로.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