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40여 회 넘게 기사를 실어 최다기록이 있는 전설의 비주얼 스토리텔러다.
제주 해녀들의 물질 작업, 농경 모습, 해녀의 일상 등을 기록한 사진 50점으로 뉴욕 매디슨 애비뉴에 위치한 코리아소사이어티에서 22일까지 전시회를 연다.
"86세 해녀도 추운 바다에서 물질을 마다하지 않았다. 10대부터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하더라. 25년 전에 딴 잠수 자격증을 빌미로 다이빙을 같이 했다. 그제야 해녀들과 강한 유대감이 생겼다." 함께 잠수를 한 뒤에는 집에도 초대받고, 퇴근도 같이 하면서 젓가락을 들고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단다. 그만큼 해녀들의 자연스런 일상을 렌즈에 담아냈다.
2013년 아리랑TV의 의뢰로 한국의 여러 대상을 촬영하던 중 남해에서 처음 해녀를 만났다. 당시 산소마스크도 없이 20~30m 바닷속까지 내려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을 보고 탄복했다.
그가 찍은 '제주 해녀' 사진은 스토리가 있고 장편소설을 읽는 듯한 진한 감동을 전해준다. 제주 해녀의 삶을 관찰하는 수준이 아니라 분명하고 응집력 있는 내러티브로 담아냈기 때문이다. 하비는 해녀 사회에도 직급이 있다고 전했다.
연륜과 능력에 따라 하군.중군.상군.대상군으로 구분돼 공동체를 이뤘다. 물질하기 쉬운 얕은 바다는 어린 하군 해녀들의 작업장으로 내주고, 상군 해녀들은 일부러 깊은 바다를 택했단다.
하비는 "이런 규범과 함께 상군 해녀에 대한 하군 해녀의 존경은 해녀공동체를 이끌어가는 힘"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반적으로 지금이 여성파워 시대인데, 해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여성파워를 보여왔다"고 덧붙였다.
하비는 스무 살이 되던 해 자신이 살던 버지니아주 노포크에 거주하는 흑인가족의 생활을 카메라에 담아 1966년 '있는 그대로 말하라'는 제목의 사진집을 출간하면서 재능을 인정받았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프랑스 10대(代)' '베를린 장벽' '마야 문화' '북미 원주민' '힙합 문화' 등을 주제로 포토 에세이 40편 이상을 기고했다.
사진 / 데이비드 앨런 하비 인스타그램
미셸 박 스틸의원 코로나서 회복…격리 끝내고 남가주 복귀
오바마케어 의무가입 부활…약값 인하 약속
1400불 지급 시기 2월말~3월초 예상
동양선교교회 임시공동회의 또 충돌…TRO 두차례 승인한 법원
H마트 어바인에 또 2개 매장…마켓경쟁 가열
中전문가 '바이든 백신 접종계획 실패 시 내년까지 팬데믹'
백신접종 '예약 대란' 시니어들 속탄다
법무부, 트럼프 퇴임 전 한국계 검사장 사퇴 경위 조사
손상된 백신약병 빼내 가족에 먼저 맞힌 의사 절도죄 기소
미용실·식당 등 보건 규정 위반 급증…LA 약 보름 동안 185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