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유럽 스마트도시들 둘러보니…스마트 도시들은 느리지만 탄탄하게 진화한다

AI로 교통 관리 에인트호번
3년 동안 경찰청 설득 작업
암스테르담 스마트도시화
외부 영입 전문가가 진두 지휘
이해 관계자들 합의 중시
시 정부는 이해 중재에 힘써


인구 62만 명의 작은 도시 로테르담.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차로 1시간 정도 떨어진 유럽 최대 무역항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공습으로 쑥대밭이 되었지만 전후 현대 도시로 탈바꿈했다. 덕분에 로테르담은 네덜란드 건축의 메카가 되었다.

이곳에는 스타트업과 기업 연구소들이 함께 자리한 혁신 클러스터가 항구 근처에 있는데 자율주행 셔틀이 이곳을 가로지른다. 파크셔틀(parkshuttle)이라 불리는 이곳 자율주행 셔틀은 운전자 없이 운행되며 중앙관제시스템에서 관리·운영·통제한다.



요금은 1000원 남짓. 놀라운 것은 이 자율주행 셔틀을 운행하는 기업이 이곳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한 때가 무려 30년 전이라는 사실이다. 시 정부가 지난 30년간 약 500억원을 꾸준히 지원해 자율주행 셔틀을 현실화할 수 있었고 이제는 기업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도시란 도시에서 벌어지는 모든 현상과 움직임 시민 행동들을 데이터화해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 도시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이는 맞춤형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 도시를 뜻한다.

스마트도시의 핵심 철학은 도시를 시 정부나 시행사·건설사 등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시민 중심의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왜 스마트도시 만들려 하나

미래 도시는 시민들이 직접 도시 문제를 발굴하기도 하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가 되도록 해주는 것이 시민 행복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민 교류를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 기술은 이를 저비용으로 가능하도록 도와주고 시민들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읽는 데 사용된다.

유럽의 대표적 스마트도시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에는 22@지구가 있다.

'22아르바'라고 읽는 이곳은 정보통신.미디어.디자인.에너지.의료기술 등을 중심으로 한 스페인의 대표적 도시재생형 산·학·연·관 혁신 클러스터다. 이곳에선 도시 전체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무료 전기자동차 충전기 스마트 쓰레기통 오토바이 공유 쓰레기 소각열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 등이 다양하게 벌어지고 있다.

바르셀로나 시는 무료 와이파이 이용자의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시스코·아마존과 함께 시민들을 위한 공공서비스로 활용한다.

또 '수퍼블록 프로젝트'(Superblock project)를 통해 일정 구역의 도로에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녹지와 시민 교류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살고 싶은 도시의 전형을 보여준다.

22@지구에서 주목할 점은 시민들이나 스타트업.중소기업들이 자유롭게 참여해 도시 혁신을 위한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지원한다는 점이다.

매력적인 공간을 만들어 리빙랩(시민 참여형 도시 문제 해결 프로젝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 것은 스마트도시의 대표적 모범사례다.

세계가 스마트도시 열풍인 이유는 혁신적 경제생태계를 만들어 일자리도 창출하고 도시 문제도 기업의 도움을 얻어 해결하려는 데 있다.

이런 맥락에서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혁신클러스터 브레인포트(Brainport)나 암스테르담의 '스타트업 암스테르담'(StartupAmsterdam)은 유럽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진화하고 있다.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공용 공간도 제공한다.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시 정부가 도와준다.

스타트업들은 최우선으로 도시민 문제를 파악해 스마트 기술로 이를 해결하려고 애쓰며 그 덕분에 기업도 성장한다.

지열·수열을 활용한 냉난방 시스템 개발 세계 최초 비콘 리빙랩으로 사물인터넷으로 장거리 데이터 전송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조회해주는 스마트홈 시스템 도입 등이 모두 이곳에서 만들어졌다. 혁신적인 젊은이들의 스타트업이 낙후된 도시를 새롭게 탄생시키고 있다.

세계 스마트시티에서 얻은 교훈

스마트도시를 운영하는 시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나눈 대화에서 그들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시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력해 도시를 운영하는 정부-민간 파트너쉽(Public-private partnership)이다.

시 정부는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에너지기술(ET) 등을 잘 알지 못하고 이를 운영할 능력이 부족하다.

그들은 그것을 인정하고 외부에서 최고기술경영자(CTO)를 영입해 시 정부 내 스마트도시를 진두지휘하게 한다.

새로운 도시 서비스의 등장은 늘 기존 서비스 주체들과의 이해 충돌을 피할 수 없다. 도시의 자동차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유차 중심에서 벗어나 차를 나눠 쓰는 공유차 서비스의 확대가 필연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의 등장은 택시업계 등 기존 사업자의 반발을 살 수밖에 없다. 유럽 도시의 시 정부는 민간 기업들 사이에서 이를 중재하고 합의를 끌어내는 노력의 주체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었다.

에인트호번 시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교통의 흐름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경찰청을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는데 이를 위해 무려 3년이나 그들을 교육하고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기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 혜택이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교육하면 그들도 인정하고 합의점을 찾으려고 애쓴다는 것이 시 정부의 전언이다.

무엇보다 데이터가 중요

유럽의 스마트도시 시 정부가 내놓는 스마트도시의 성공 전략은 결국 '데이터와 인공지능'이다. 시민들의 요구를 읽고 그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들이 원할 것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에 관한 데이터를 얻어야 한다.

그래서 모든 스마트도시는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얻기 위해 공을 들인다.

덴마크 코펜하겐에는 데이터거래소까지 생겨났다. 시 정부는 물론 기업들이 얻은 데이터를 서로 거래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애쓰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는 데이터 규제가 필요하지만 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데이터 활용이 절실하기 때문에 둘 사이에서 현명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그들의 역할이라고 설명한다.

데이터를 플랫폼 위에 올려놓고 인공지능으로 그것을 분석해 도시서비스를 제공해야 비로소 스마트도시가 된다.


정재승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