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 고] 존재와 자아는 어디에 있나

"나는 생각(기억)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고 철학자, 데카르트와 흄이 말한 이후 유럽세계는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1살 때의 내 모습과 70 노인이 된 내 모습은 완전히 다른데 어떻게 이 두 모습을 같은 '나'로 볼 수 있을까? 신경의학적으로는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간은 보이는 육체와 보이지 않는 정신으로 구성돼있다. 육체는 수억 아니 수조의 세포들이 모여서 형성된 집합체로 120세를 살다 모두 죽게 된다. 그러나 엄밀히 따져보면 몸을 이루는 세포들은 각각 다른 수명이 있다. 적혈구는 120일, 백혈구는 28일, 피부세포는 14-21일을 살다 죽고 대신 다른 세포들이 생성돼 교체된다. 그렇다면 1년 전의 나는 지금의 내가 아니고 재생된 다른 '존재인 나'일 뿐이다.

시·청·촉·후·미각을 통해 물체의 존재를 정의하려고 했으나 감각을 통한 존재는 믿을 수가 없었기에 데카르트는 고민하다가 문득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은 변함이 없는 것'이기에 '생각하기 때문에 존재한다'라고 정의했다.

1846년 피네아스 게이지의 뇌 손상 사건, 1953년 H.M의 뇌수술 사건 이후 사람의 뇌는 생각하고 기억하는 곳으로 알게 됐다. 그리고 20~30년, CT, MRI 등의 발달로 철학이 모르는 비밀을 의학은 밝혀내기 시작했다.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는 죽고 재생하나, 뇌 속에 있는 뉴런(Neuron)만은 생후 3세까지 형성되면 재생되지 않고 죽을 때까지 원래의 세포로 유지한다. 대뇌에 있는 뉴런은 140억 개가 되며 각 뉴론에는 수상, 축색돌기가 있다. 놀라운 것은 뉴런 하나에 작은 가시돌기(Spine)가 1만개가 있어 다른 뉴론의 돌기와 시냅스(연합)를 한다. 결국 140억×10000개의 시냅스를 이룬다. 이들 시냅스 속에는 '기억'이란 정보가 저장 돼 있음을 에릭 칸델은 증명해 노벨상을 받았다. 기억은 사고(idea)를 만들고 사고는 말과 글을 통해 '생각'이 된다. 그러므로 존재란 결국 뉴론이 죽지 않고 서로 시냅스를 해 기억을 유지함으로 나라는 존재가 지속된다.

한편 자아(Self)에 대해서도 많은 철학적 종교적 설명이 있으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의학적으로는 대뇌의 뒷부분 즉 감각이 서로 한 곳으로 모이는 '고차신경연합(게쉬윈드 영역)'에서 신체의 표상(表象, symbol)이 기억된 시각 공간을 만나 표상 공간이 돼 그곳에서 자아가 활동한다"고 칸델은 정의한다. 실제로 그 영역에서 나의 존재를 느끼며 공간과 시간을 느낀다. 놀라운 것은 이 게쉬윈드 영역과 전두엽의 배외측전전두엽은 수억의 섬유다발을 통해 단숨에 전달해주어 이 정보를 해석, 분석 그리고 결정을 하는 인지 기능을 밤낮없이 쉬지 않고 계속해 왔기 때문에 1살 때, 내 모습과 70세의 내 모습은 다르지만 '나는 존재하고 있다'라고 본다. 솔직히 데카르트와 흄은 비록 의학적인 기능은 몰랐지만 놀랍게도 대답은 옳게 한 셈이다.




연규호 / 내과·신경과 은퇴의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