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處'는 '곳, 있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처'는 '스스로 어떤 자리나 신분에 있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請'은 '청하다, 묻다'의 뜻을 가진 글자이기 때문에 '자청'은 '스스로 하겠다고 나선다'는 의미가 된다.
문맥에 따라 양쪽 다 쓸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협회, 중국 진출 원하는 화장품 업체 위한 서포터 자청'이란 제목 글에서는 '자청'을 '자처'로 바꿔도 의미가 통한다.
그러나 "거리를 지나는데 스님을 자청하는 분이 말을 걸어왔다"에서는 '자처'로 써야 한다. "그는 병든 어머니의 간호를 자처했다"에서는 '자청'을 써야 한다.
직원 198명에 1000만 달러 '깜짝 보너스'
김건모 측 "거짓 미투 없어져야" 성폭행 피해 주장女 맞고소
"꼰대·노땅정당" 한국당의 파격···청년 출마자에 50% 가산점
512조 사상 최대 예산, 최악 졸속심사로 통과했다
"어차피 갈 인생"···유언 대신 조용히 존엄사 택한 김우중
민경욱 “주 52시간제 반대…100시간 일할 자유 줘야”
'올해의 인물' 툰베리에 질투났나…트럼프 막말트윗에 비난 쇄도(종합)
류현진 "나도 1억 달러 계약 소식 들었으면..."
성균관대 동문회…김윤수 회장 재신임
'전두환, 12·12군사반란 40년 지난 오늘 가담자들과 기념오찬'(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