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 고] 발상의 전환 필요한 한일 관계

부모 세대가 얼마나 험한 찬탈을 일본으로부터 겪어야 했는가를 생각하면 일제강점기를 직접 겪어 보지 못한 필자도 치를 떨며 분개하게 된다. 요즘도 일본과의 마찰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전쟁 위안부 문제와 독도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상태에서, 강제징용 보상 문제에 대해 과거 한일협정에서 완전하고 되돌릴 수 없도록 결론을 내렸다는 일본과 그렇지 않다는 대한민국은 극심한 반감과 대립각 상태에 있다.

잘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잘못에 대한 사과는 미래에 다시 그런 일이 생기지 않게 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그러나 물질적 보상은 진정한 사과가 있고 나서 있을 수 있다 여겨진다.

특히 국가와 국가간의 문제처럼 강제집행이 불가능한 인우,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물질적 보상을 논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의문이 든다. 과거 정권에서 일괄 타결된 것으로 해석하는 일본에 대해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결과였다. 상대방과 손익에 대해 적어도 비슷한 정도의 결론도 갖지 않고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전쟁을 하자는 것과 다름이 없다.

필자는 엊그제 한 정치인이 내어놓은, 진정성 있는 사과만 받아내고 개인적 물질적 보상은 우리 국가가 하도록 하자는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그것이 현재 난국의 유일한 돌파구라고 여겨진다.



또 한가지 걱정은 우리가 언제까지 일본을 영원한 원수로 생각하느냐는 것이다. 물론, 과거사에 대한 일정 수준의 규명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친일과 반일' 일색으로 국민을 갈라 놓으려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특히 해방 후 아무리 애국적 행위를 했던 사람도, 그가 일제침략기에 일시적인 '친일' 행위와 연결된 그 어떤 희미한 주장만 있어도 그 사람의 모든 국가에 대한 헌신적인 기여는 아랑곳없이 오로지 죽일 사람으로 치부하는 풍조가 있다. 그런 잣대는 '과거사의 청산'이 아니라 '과거에 매여 사는 오류'다. 친일이란 단어가 '매국'이란 단어와 동일시될 수는 없다.

일본이 바로 옆에 있는 우리와 원수지간으로 풍요로울 수 없듯, 우리도 바로 코앞에 있는 일본과 원수지간으로 계속 발전할 수 없다.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잘못된 주장의 포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서는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꼭 받아내야 한다.

그러나 지금처럼 강제동원 노동 등에 대해 계속 물질적 보상을 요구한다면 독도 문제나 위안부 문제마저도 더욱더 해결이 어려워지게 된다. 필자의 생각은 더 이상 일본과의 물질적 보상에 연연하지 않았으면 한다. 특히 일본의 보복에 대해 또 다른 보복으로 나아가는 것은 잘못이다.

한일합방 100년을 넘어서는 이 시점에서 과거 일본에 의해 그 어떤 손해와 고역을 치렀다고 할지라도, 그 나라에 대해 대승적 차원에서 발상의 전환을 가져야하지 않을까 한다.


박성은 / 신경내과 전문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