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악성 댓글 필터링 인공지능(AI) 기술 '클린봇'을 뉴스 서비스에 적용했다고 13일 밝혔다.
클린봇은 AI 기술을 이용해 불쾌한 욕설이 포함된 댓글을 자동으로 숨겨주는 기능이다. 올해 4월부터 웹툰과 쥬니버, 스포츠, 연예 등 서비스에 순차 적용됐다가 이제 뉴스에도 도입됐다.
네이버는 이전에도 뉴스 댓글에서 욕설은 '○○○' 식으로 자동 치환해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런데 욕설만 가리는 것으로는 악플을 충분히 막을 수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가령, "저런 ○○ 같은 게 어디서 ○○이야"라는 일부 문장으로도 맥락을 통해 모욕적인 뜻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이런 욕설이 들어간 댓글은 아예 뜨지 않게 된다. 사용 여부는 뉴스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명백한 욕설이 아니라 일상 언어와 혼용되는 단어는 걸러지지 않는다.
최근 가수 겸 배우 설리(본명 최진리·25)의 사망을 계기로 악플의 폐해가 재조명되면서 포털 다음은 아예 연예 뉴스 댓글을 잠정 폐지하는 등 업체 차원의 자정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도 이번 클린봇 도입을 포함해 뉴스 댓글 정책 및 기술을 계속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악플을 상습적으로 다는 이용자에 대한 제재도 강화될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악플러에게 주의·당부에서 시작해 일시적 또는 무기한 서비스 사용 제한 등 조치를 해왔다.
네이버 관계자는 "앞으로 댓글 정책과 관련해서 계속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jungberg@yna.co.kr
(끝)<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홍지인
20만원 샥스핀 오찬에 분노한 광주 "전두환 강제구인 해야"
"2004년 盧측근 안희정 잡은 윤석열…요즘 그 얘기 자주한다"
LA 매체 "류현진vs범가너, 다저스에 누가 더 필요할까"
FBI 前국장, 트럼프 괴롭힌 러시아 스캔들 수사때 절차잘못 인정
구설 오르내리던 '정치인' 추미애, '후보자'되자 달라졌다
명문대 ‘어른되는 법’ 가르친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라서' 툰베리, 오해 낳은 표현 사과
[학부모 교실] “UC계 입시서 SAT 폐지하라” 소수계 학생 소송
트럼프, 美민주 미중 합의 공격에 '아무것도 안해놓고' 맹비난
한국, 팔레스타인 극빈층에 50만달러 지원…“3만8000여명 혜택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