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룸버그는 관계자를 인용해 이 묶음형 유료 구독 서비스에는 영화·드라마 스트리밍 서비스인 애플 TV+와 애플 뉴스+, 애플 뮤직이 들어간다고 전했다.
이는 더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애플은 뉴스+ 서비스를 위해 언론사들과 계약할 당시 장차 다른 유료 디지털 서비스와 묶음형으로 쓸 수 있다는 조항을 넣어 이런 조치를 암시했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애플은 지난 3월 애플 뉴스+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월 구독료를 9.99달러로 책정했다. 이 구독료 중 약 절반을 애플이 가져가고 나머지는 잡지·신문사 주머니에 들어간다.
하지만 애플 뉴스+가 묶음형 상품으로 판매될 경우 뉴스 상품 구독료가 더 싸지기 때문에 출판업자들이 받는 돈이 줄어들 수 있다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애플은 간판 제품인 아이폰 판매가 정체에 빠지면서 구독형 서비스를 새 성장동력으로 택했다. 애플 뉴스+가 3월 시작한 데 이어 이달에는 애플 TV+가 월 구독료 4.99달러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CNBC는 "구독 서비스를 묶음형으로 제공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의 정체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매체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일부 소비자는 이미 아이폰을 구독형 상품으로 본다고 말한 점을 들어 앞으로 구독형 상품이 더 확대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쿡 CEO는 지난달 말 실적 발표 뒤 일정한 돈을 내면 구형 아이폰을 반납하고 신형 아이폰을 받는 '업그레이드' 고객을 예로 들며 소비자가 이미 아이폰을 구독형 상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CNBC는 또 관계자를 인용해 애플 뉴스+가 출시한 지 48시간 만에 2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했지만 이후로는 구독자를 늘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sisyphe@yna.co.kr
(끝)<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성호
직원 198명에 1000만 달러 '깜짝 보너스'
김건모 측 "거짓 미투 없어져야" 성폭행 피해 주장女 맞고소
"꼰대·노땅정당" 한국당의 파격···청년 출마자에 50% 가산점
512조 사상 최대 예산, 최악 졸속심사로 통과했다
"어차피 갈 인생"···유언 대신 조용히 존엄사 택한 김우중
민경욱 “주 52시간제 반대…100시간 일할 자유 줘야”
'올해의 인물' 툰베리에 질투났나…트럼프 막말트윗에 비난 쇄도(종합)
류현진 "나도 1억 달러 계약 소식 들었으면..."
성균관대 동문회…김윤수 회장 재신임
'전두환, 12·12군사반란 40년 지난 오늘 가담자들과 기념오찬'(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