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 12일 연방대법원에서 폐지 여부의 최종 심리가 시작된 불법체류 청년 추방유예(DACA·다카) 제도 수혜자들이 대표적인 환자들이다. 약 70만명에 달하는 다카 수혜자들 중 한인도 약 7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UC 샌디에이고 탐 웡 정치과학 교수에 따르면, 가주에 거주하는 한인 서류미비자는 4만9092명이며 이 중 30%는 건강보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기사 6면>
이웃케어클리닉(Kheir·소장 애린 박)은 신분에 문제가 생길까 두려워 의료 혜택 중단을 원하거나 자격이 되는데 의료 보험 가입을 꺼리는 환자 문의가 많다고 전했다. 이웃케어클리닉의 한 관계자는 "이미 진료를 예약했는데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병원을 방문하지 않거나, 마이헬스 LA의 경우 매년 갱신을 해야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시행하지 않는 환자도 많다"면서 "체류신분에 상관없이 얼마든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부에나파크에 위치한 비영리단체 코리안복지센터(KCS)의 앨런 안 소장도 14일 데일리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같은 의견을 드러냈다.
안 소장은 "대부분 서류 미비자 또는 무보험자의 경우 암 진단을 받으면 어떻게 해야할지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대부분 어디로 가서 어떻게 해야할지, 누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지 등 언어 장벽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안 소장은 KCS를 찾은 한 52세 여성 A씨의 사례를 언급했다. A씨는 4년 전 유방암 진단을 받았지만 보험이 없어 아무런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안 소장은 "이미 우리 센터를 찾았을 땐 암 4기까지 번진 상태였다. 조금만 더 일찍 왔더라면 완치도 가능했을 텐데 안타깝다"면서 "하지만 A씨는 지금 누군가의 도움 속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기뻐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영리 의료단체 의료 클리닉 '미션시티클리닉'에서도 서류미비자 및 다카 신분의 건강을 책임지는 데 앞장서고 있다. 미션시티클리닉 올림픽 사무소의 마크 이 홍보국장은 "서류미비자는 마이헬스 LA, 다카 신분은 메디캘을 신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면서 "특히 다카의 경우 UCLA 등 학생이 대부분이라 소득이 없다. 우리 자체적으로 병원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돈, 체류신분 없어도 얼마든지 치료받을 수 있다"며 많은 한인들이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유승준 비자소송' 또 대법으로…LA총영사관 불복 재상고
'탄핵 정국' 속 트럼프 인기 절정으로 치솟아
“트럼프가 링컨보다 위대한 대통령”
美법학자 500여명 '트럼프 행위 탄핵감' 공개서한에 서명
황교안 “주52시간 과도…대한민국은 좀 더 일해야 하는 나라”
강용석 "김건모 성폭행, 증거 많다"…김건모 측 "법적 대응"
미래에서 왔나…테슬라 사이버트럭
트럼프쪽 탄핵조사 참여는 없던 일로…법사위 요청에 불응 서한
김건모 측 "성폭행 의혹, 사실 아냐…법적 대응할 것" [공식입장]
검찰 '임대 불가'에도 '마이동풍'…남가주한국학원 사태 '쳇바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