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참조>
2일 LA카운티 정신건강국(CDMH)이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미주 한인 자살 건수는 최근 5년간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자살자수는 2013년 155명에서 2017년 223명으로 44%나 늘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17년 기준 25~34세가 49명으로 가장 많았고 5~14세의 어린 나이대에서도 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단순 숫자보다 사망률은 더 심각하다. 인종별로 사망 100건 당 자살율은 지난 2017년 기준 한인이 가장 높다. 반면 백인은 1.8%, 중국계 1.7%, 흑인은 0.9%에 그쳤으며 일본계가 0.7%로 가장 낮았다.
UCLA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LA카운티 한인 성인 중 지난해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경험한 비율은 13.6%로 총 3만4000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심리적 고통을 경험한 전체 인종의 평균이 11.3%인 것에 비하면 높은 수치다. 자살을 심각하게 생각한 적 있느냐는 질문엔 한인 성인 중 13%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역시 전체인종 평균 9.6%보다 3.4% 더 높은 수준이다.
LA카운티 정신건강국 측은 “정서적 또는 약물 문제로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려는 한인들의 문화가 가장 우려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LA카운티 한인 성인 중 이와같은 도움이 필요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이 무려 83.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정신과적인 필요를 느낀 한인 중 16.8%만이 치료를 받은 것이다. 전체인종으로 살펴봤을 때 60%가 치료를 받았다고 답한 것에 비하면 큰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LA카운티 정신건강국 김재원 정신건강 트레이닝 코디네이터는 “2010년 기준 캘리포니아의 한인 자살 사망자의 90%가 한국에서 태어난 이민자인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문화적으로 적합한 자살예방 활동과 인력, 자원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인 커뮤니티의 경우 정신적 치료를 받으면 사회적 낙인이 될 것을 우려하고 상담을 받고 싶어도 언어적인 문제로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정신건강국에서 한인을 위한 핫라인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많은 만큼 적극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어 젼화 상담 핫라인:(800)854-7771 LA카운티 정신건강국, (877)727-4747
디디허쉬 자살예방 위기전화
▶방문 상담:LA카운티 정신건강국 피어 리소스 센터(560 S Vermont Ave)
미 하버드대 앨리슨 교수 "제2차 한국전쟁 가능성 높아져"
김건모 측 "거짓 미투 없어져야" 성폭행 피해 주장女 맞고소
"꼰대·노땅정당" 한국당의 파격···청년 출마자에 50% 가산점
512조 사상 최대 예산, 최악 졸속심사로 통과했다
서울 광화문 광장에 등장한 ‘무릎꿇은 전두환’ 동상
"어차피 갈 인생"···유언 대신 조용히 존엄사 택한 김우중
미국도 행동 나섰다…'평양 30분내 타격' ICBM 시험 돌입
'전두환, 12·12군사반란 40년 지난 오늘 가담자들과 기념오찬'(종합2보)
'올해의 인물' 툰베리에 질투났나…트럼프 막말트윗에 비난 쇄도(종합)
"군대 갈래? …감옥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