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자의 눈] 한인은 남북 평화 정착의 '마중물'

“한국 정부와 국회 외교는 한계가 있습니다. 연방 의원을 만나보면 한국을 잘 모르고 답답할 때도 있어요. (양측이) 정보 공유와 해법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 하지만 재미동포가 유권자로서 지역구 연방 의원을 후원하고 여론을 전달하면 가장 큰 힘을 발휘합니다. 재미동포는 한국 정부와 국회가 할 수 없는 한반도 평화정착 노력을 할 수 있고, 연방 의회를 움직일 힘이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LA를 방문한 김경협 국회의원(더불어 민주당)은 신신당부했다. 한 나라의 국회의원은 솔직하게 연방 의회 접근과 소통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특히 "세계를 상대하는 연방 의원은 한국(남북한)을 잘 모른다”는 그의 답답함 속에는 국력이 약한 모국의 현주소를 엿보게 했다.

행간을 풀어보면 이렇다. 한국 정부와 국회는 미국 눈치를 봐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3차 남북정상회담이 세계의 이목을 끌었지만 동력을 상실했다.

미국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행정부와 의회는 한반도 평화보단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외교전략을 구사한다. 냉혹한 국제정치, 힘의 논리다.



비유하자면 남한은 태생부터 조력자로 나서준 이웃집 형(미국) 눈치를 봐야 한다. 근데 이 형이 남한 동생의 희망을 듣는 둥 마는 둥 하니, 갈라선 형제(북한)와 손을 잡고 싶어도 방법이 없는 셈이다. 북측 형제는 왜 남의 눈치 살피느라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불만까지 제기한다.

2020년 새해 들어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재개를 외쳤지만, 북한은 ‘기대할 게 없다’고 면박을 줬다. 미국이랑 담판을 짓겠다는 포부다. 한반도 평화정착 열쇠는 미국이 쥐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한반도 평화정착 열쇠는 미국 정부와 의회가 쥐고 있다. 미국 정부와 의회를 움직여야 한다. 한국 정부나 국회가 읍소해도 미국에서는 ‘남의 나라’ 사정일 뿐이다. 누가 나서야 할까.

한인사회가 항상 하는 말이 있다. ‘인구(약 250만)와 경제력에 비해 정치력은 약하다’ 정치력이 약한 이유는 '목서리'가 없어서다.

현실을 보자. 캘리포니아주, 뉴욕주, 텍사스주 등 연방 하원의원 지역구마다 한인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연방 하원의원 등 정치인이 가장 무서워하는 존재는 유권자다. 유권자가 목소리를 내면 정치인은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이들은 ‘한 표’도 소홀히 여기지 않는다. “지역구 정치인에게 여론을 전하고 변화를 주문하세요. 관심을 쏟습니다.” 정치인 스스로 하는 말이다.

최근 한인사회는 공공외교를 강조하고 있다. 민간이 나서서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힘쓰자는 취지다. 미주 민주평통,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 한인 정치활동 단체 코리안 아메리칸 인 액션(KAA) 등이 연방 의회를 상대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 결과 연방 의원이 ▶북미이산가족상봉 법안(HR 1771) ▶한국전쟁 종전선언 결의안(HR 152) ▶한인 등 입양아 시민권 법안(HR 2731)에 서명하고 지지하고 있다.

김경협 의원은 재미동포 덕분에 연방 의회가 움직인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한인사회가 한반도 평화정착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


김형재 / 사회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