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오픈 업] 떠나는 사람들, 남겨진 사람들

모니카 류 / 종양방사선학 전문의·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

죽음이 요즘처럼 대중에게 가까이 있었던 적은 없었다. 또한 죽음을 바라보는 모습이나 떠난 이들을 애도하는 모습도 예전과 다르다. 죽음이 흔하고 많아서 또는 감염 우려 때문에 죽어가는 친지들에게서 멀리하는 것인가. 전쟁터에서는 닥치는 위험 때문에 죽음을 놓고 슬퍼할 시간을 갖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치고 있는 지금, 그런 의문이 들었다.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의 사설에 팬데믹을 겪는 의료진, 일반인들의 생각과 태도가 잘 정리되어 있기에 나누고 싶다. ‘전염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위험해 보인다. 그래서 살아있는 우리는 전염병의 위협을 느낀다. 그들을 만질 수 없다. 무섭다. 죽음으로 향한 벼랑 끝에 서 있는 사람들은 옆에서 바라보고 있는 우리를 도덕적으로 무력하게 만든다.'

모든 죽음은 혼자 겪어내야 하는 여정이라고 해도 죽는 이들의 차원에서 보면 죽음은 외롭다. 죽음에 차이가 있다면 준비된 죽음인지 아닌지 일 것이다. 아니, 준비라고 표현하기보다는 예상된 것인지 아닌지의 차이일 것이다.

지금 같은 팬데믹 때는 예외이지만 의사라고 죽음을 많이 보지는 않는다. 예전과 달리 종양학 전문의사들은 말기 환자를 직접 챙기지 않고 호스피스 전문인에게 의뢰한다. 그래서 환자들의 마지막 순간을 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상생활의 기능을 잃어 갈 경우, 다시 말해 임종이 가까워져 올 경우, 완치의 개념을 버리고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두는 처지가 바로 호스피스이다.

통계적으로 호스피스가 돌보는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며칠 더 그리고 편안하게 살다 죽음을 맞는다. 그동안 환자와 가족들은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에서 어느 정도 해방되기도 한다.

내가 처음으로 환자의 사망을 본 것은 인턴생활을 시작한 지 한 달 되던 때였다. 우리는 백혈병을 앓았던 대학생을 살릴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항암 치료제가 듣지 않았다. 항암 치료제는 암세포를 죽이지 못하고 정상세포와 면역에 중요한 백혈구를 파괴하고 있었다. 정맥주사 몇 회, 산소 호흡기, 소변 폴리 등 많은 의료 기구들이 그의 몸에 연결돼 있었다. 내 나이 또래의 형이라는 젊은이가 그의 병실에 상주하면서 돌보고 있었다. 한국은 당시 미국과는 달리 입원 환자의 수발을 가족들이 들어주어야 하는 시스템이었다.

실상 나는 환자가 숨을 거두던 겨울 저녁에 그 환자 방에 있지 않았다. 선배 남자 레지던트가 나를 정서적 차원에서 보호하려고 방에서 내보낸 것이었다. 내가 여자 인턴이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선배 남자 레지던트의 자연스러운 배려였을 것이다. 지금 같으면 성차별한다고 진정서를 쓰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나는 간호 스테이션을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환자가 운명한 지 10여 분이 지난 다음, 환자의 형은 나를 붙들고 절규했다. “왜 세상은 이렇게 불공평합니까?” 나는 답을 하지 못했다. 지금도 나는 정답을 모른다.

떠난 사람들이 세상에 남기고 간 그들의 영혼 없는 몸과 소유물의 마지막 정리를 남은 이들이 해야 한다는 순리를 되새겨 본다. 내가 떠나면 나의 흔적을 깨끗이 지우고 정리해 줄 사람은 누구일까.

코로나19로 많은 생명들이 사라져 가는 지금, 떠나는 사람들과 남겨진 사람들을 생각해 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