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PPP 소진한 기업들 직원 해고 나서

"월급 줄 여력 안 돼"…구조조정 업체 14%→22%로 늘어

콜로라도주의 ‘넬슨 바디숍’은 최근 오너를 포함해 5명의 모든 직원을 해고했다. 4월 중순 급여보호 프로그램(PPP)을 받았고 지난달 융자금을 모두 사용했지만, 차를 고치러 오는 손님은 여전히 없기 때문이다. 태미 넬슨 사장은 “총 맞은 상처에 반창고를 붙였던 꼴”이라며 “불가피하게 다가오는 위협을 잠시 뒤로 미룬 것일 뿐 희망 고문만 당했다”고 한숨지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PPP 융자금을 소진한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경제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직원들의 해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한인타운에도 융자금을 다 쓴 뒤 별다른 방법이 없어 인건비를 아끼느라 직원을 해고하는 업주들이 늘고 있다.

중소기업청(SBA)이 침묵을 지키고 있어 PPP 고갈과 해고에 관한 정확한 통계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전국자영업연맹(NFIB)’ 조사에서 PPP 수혜 업체 중 직원을 해고했거나 할 계획인 경우는 지난달 전체의 14%에서 이달 22%로 늘었다.

또 골스만 삭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PPP와 같은 정부 지원 없이 직원들에게 급여를 줄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6개 중 1개에 그쳤다.



경제학자들은 지난 3월 말 이후 15주 연속 감소했던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숫자가 최근 142만명으로 다시 증가한 것은 PPP 소진 기업들의 해고가 시작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대로 지난 5~6월 두 달간실업수당 신청자가 줄고 실업률이 낮아진 것은 PPP가 만든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스몰 비즈니스 컨설팅 업체인 ‘그랜트 손튼’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제 활동이 곳곳에서 다시 중단되는 가운데 일시적인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 없다”고 진단했고, 회계법인 ‘RSM’의 조셉브루셀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부와 투자자는 PPP를 소진한 기업들의 대량 해고 사태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MIT·ADP 리서치 공동조사를 통해 PPP로 150만~350만개 일자리가 지켜졌다는 분석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자금이 소진되기 전인 지난달 초 분석이고, 이후 셧다운이 재개되기 이전의 연구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투자은행 ‘웨스트우드 캐피털’의 대니얼 앨퍼트 분석가는 “

PPP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지만, 약효가 달랑 융자금 탕감 시한과 같은 8주뿐이었다”고 지적했으며, UC버클리의 로버트 리치 교수는 “단지 은행들이 총 1000만 달러의 수수료 수입을 아무런 리스크 없이, 소수계나 여성 기업에 대한 배려 없이 손쉽게 벌어들인 사업이었을 뿐”이라고 일갈했다.

한편 한인 경제권도 PPP를 받은 순서에 따라 인건비 절감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직원을 해고하는 사례가 느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한인은행 관계자는 “직원을 해고해도 PPP 융자금 탕감에 문제가 없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며 “일부 PPP로 겨우 버텼던 한인 업체와 맘앤팝스토어 등이 직원 해고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류정일 기자 ryu.jeongil@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