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전문가 기고] 연금의 숨은 기능을 활용하라

현재 노후대비 자금이 100이 있고 은퇴 후 필수 생활비가 70이라 하자. 그러면, 4%대 정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리츠(REITs)와 같은 중위험·중수익 자산을 100만큼 사는 게 나을까, 아니면 종신연금을 70 사고 나머지 30으로 주식(혹은 주식 간접투자)을 사는 게 나을까? 답은 후자다. 이유는 연금이라는 금융자산이 가진 특이한 기능에 있다.

리츠와 같은 중위험·중수익 자산을 100 보유하면 정기예금 이자보다 높은 배당을 꾸준히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중위험·중수익 자산은 최근 사모펀드 사태에서 보듯이 가끔 손실을 크게 볼 때가 있다. 리츠도 차입을 해서 부동산에 투자하므로 주식보다 손실을 크게 보기도 한다. 혹 이들 자산가격이 30% 이상 하락하면 노후자금 지출에 차질이 생긴다.

연금 70, 주식 30을 갖는 경우 일단 필수 생활비 70은 연금으로 확보할 수 있다. 주가가 40% 하락해도 전체 자산의 손실은 12%에 불과하다. 극단적으로 원금을 모두 잃는다 하더라도 연금이 있기에 생활비가 부족한 위기 상황에 처하지 않는다. 만일, 주가가 많이 오르면 노후에 보너스를 듬뿍 받는다.

바둑에는 ‘내 말이 살고 난 후에 상대방 돌을 잡으러 간다’는 격언이 있다. 과감한 수를 두려면 먼저 나의 생존부터 확보해 놓아야 한다는 말이다. 혹은 나의 생존이 담보되면 좀 과감한 수를 두어도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연금의 역할은 노후 자산관리에서 나의 생존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종신연금은 돈의 수명과 나의 수명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내가 혹 120세를 살아도 확정적인 연금 소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금은 나의 생존(我生) 이외에 상대방 돌을 잡아 큰 수익을 취하는 ‘살타(殺他)’라는 숨은 기능을 갖고 있다. 연금 자체에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기능은 없지만, 연금의 안전성을 활용해서 다른 자산에서 수익을 내는 간접적인 기능이다. 아쉽게도, 우리는 이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노후 자산관리는 연금의 숨은 기능을 십분 활용하는 게 요체다. 이를 위해서는 연금을 먼저 확보하고 나서 다음의 두 가지를 덧붙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우선, 자신의 전문성을 키워 노후에 근로소득을 얻는다. 주식 투자만 투자가 아니다. 나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도 중요한 투자다. 저금리 시대에는 인적자원 투자의 수익성이 높다. 월 1000달러 근로소득은 20만 달러 예금의 이자와 맞먹는다.

그런데, 나를 재교육할 때는 기본적인 노후 소득이 뒷받침되면 좋다. 연금은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공부하고 전문성을 인정받아 근로소득을 벌 때까지의 긴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 은퇴 후에 전문성을 키워 성공한 사람 중에 연금이 튼튼한 사람이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둘째, 연금이 확보되면 나머지 자산은 투자수익을 추구한다. 투자의 변동성을 견디고 장기적으로 수익을 얻으려면 안정적 소득과 시간이 필요한데 연금이 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나의 노후를 책임져 줄 사람은 자식이 아니라 글로벌 기업의 젊은이들이다. 글로벌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으면 이들이 생산한 부가가치의 일부가 나의 것이 되기 때문이다.

노후의 자산구조는 ‘연금 + X’가 좋다. 연금은 생존, X는 잠재성이다. X는 근로소득과 투자소득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각자의 것을 가미해도 된다. 연금은 본연의 안정적인 기능 이외에 연금의 안정성을 활용해 얻을 수 있는 ‘X’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레스토랑은 스테이크에 동반되는 값 비싼 와인을 팔아서 돈을 번다고 한다. 노후에는 연금이라는 스테이크를 잘 만들고 여기에 고급 와인을 팔아야 한다.


김경록 / 미래에셋 은퇴연구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