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3일 해피러너스 회원들이 소규모로 모여 세리토스 리저널 파크에서 연습하고 있다. [해피러너스 제공] |
‘해피러너스’의 윤장균 회장과 유성은 코치, ‘동달모’의 임무성 코치 등은 최근 두 동호회 회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연령별로는 51~60세가 44.1%로 가장 많았다.
61~70세는 33.3%를 차지했고 41~50세가 12.9%로 그 뒤를 이었다. 81세 이상으로 노익장을 과시한 회원 비율은 1.1%였다.
51~70세 회원 비율이 전체의 77.4%에 달한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관해 윤 회장은 “설문조사 모집단(샘플)을 선정할 때, 연령별 안배를 했기 때문에 두 동호회의 정확한 실상에 가깝다고 본다. 또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남가주 한인 마라톤 동호회 전체에서도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윤 회장은 이어 “젊은 회원을 늘리기 위해 노력했지만 40세 이하는 소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설문조사에서 31~40세는 3.2%, 21~30세는 1.1%에 그쳤다. 20세 미만은 아예 없다.
윤 회장은 “한인 마라톤 동호인의 대다수가 건강을 위해 마라톤에 입문하는 사례가 많은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달리기 경력은 0~2년이 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3~5년(17%), 9~11년(15%), 6~8년(12%) 순이다. 12~15년, 16년 이상도 각각 11%를 차지했다.
이 조사에선 마라톤 동호인의 주당 달리기 횟수도 살펴봤다.
2~3회가 절반이 넘는 52%를 기록했고 그 다음은 4~5회(29%)다. 주 1회만 뛰는 이는 17%다.
주당 주파 거리는 0~5마일, 6~10마일, 11~20마일이 모두 22.1%로 집계됐다. 21~30마일을 뛴다는 이도 20%에 달했다.
한인 동호인은 가장 선호하는 연습 시간으로 새벽 및 오전을 꼽았다. 압도적 다수인 84%가 선택했다. 저녁은 11%, 낮은 5%에 그쳤다.
설문 응답자들은 연습 장소(복수 선택 가능)로 공원(62.6%)을 가장 선호했다. 도로 및 보도는 43.4%다.
마라톤 동호인이 가장 많이 겪는 부상 부위는 고관절(22.5%), 허리와 종아리(각 20.2%), 발바닥 뒤(19.1%), 무릎 안(18%) 순이다.
윤 회장은 “한인 동호인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더 건강에 도움이 되는 러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문조사를 했다. 이 조사가 남가주 한인 마라톤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 가려는 캐러밴 vs 막으려는 군경…과테말라서 격렬 충돌
트럼프 막판 '사면 로비' 장 섰다…"측근들 수십억 받고 청탁"
미국인 셋 중 둘 '바이든 잘하고 있다'…앞으로는 '글쎄'
바이든 취임날, 트럼프 '나홀로 이임식'…끝까지 美 찢어놓다
“전쟁터 같은 워싱턴 처음” 내셔널몰 폐쇄, 취임 리허설 연기
'바이든, 미국-캐나다 송유관 사업 취임 첫날 무효화'
윤서인 사과에도…광복회 "위자료 1인 100만원, 83억 소송"
'패망' 월남국기가 왜 미 의회난입 현장에?…'반공 상징이라서'
중국 노인 '시끄러워'…한 동네 개 22마리 독살에 '발칵'
'퇴임 대통령에 제공하던 기밀브리핑 특전, 트럼프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