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조치는 미국의 문호를 세계에 개방하겠다는 조 바이든 당선인이 내달 20일 취임한 이후에도 계속 유지될지 불투명하지만 6개월간 시행될 예정이라고 AFP 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비자 만료 이후에도 미국에 체류하는 입국자를 추방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라고 미 국무부는 밝혔다.
불법 체류를 하지 않겠다는 일종의 '보증금'인 셈이다.
이에 따라 단기 사업·관광 목적의 'B' 비자 입국자는 1만5천 달러를 지불해야 하며, 기간 내에 미국에서 출국하지 않을 경우 자금은 이민국에 수용된다.
대상국은 이란, 미얀마와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로 모두 23개 국가이며, 비자 기한을 넘긴 불법 체류자 비율이 1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명단에 한국은 거론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이란에 대해서는 지난 2016년부터 '무슬림 금지' 계획에 따라 입국자를 대폭 줄였다.
이번 조치는 미국 입국 비자 면제 대상 선진국의 학생이나 여행객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트럼프 행정부는 통상 이민법 규정을 개정할 때와 달리 이번 조치의 경우 일반 여론 청취나 검토 없이 갑자기 시행했다.
aayyss@yna.co.kr
(끝)<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안용수
이재용 징역 2년6월 법정구속…삼성 또 '총수 부재' 악재
'100년 미국' 산산조각 냈다, 트럼프 탄핵 위기는 자업자득
'USA' 유니폼에 딱 걸렸다, 의회 난동 '금메달리스트'의 눈물
“이젠 상류사회서 외면” 초라해진 이방카·쿠슈너
기밀 문서 찢고, 외부에 흘리고…"트럼프 퇴임 뒤 기밀 접근 막아야"
한인타운 업소에 대낮 권총강도…동일범 소행 범죄 신고 잇따라
FBI, 펠로시 노트북 훔친 여성 추적…'러 정보기관에 팔려고 해'
1400불 지급 시기 다음주에 윤곽…탄핵 절차에 따라 늦춰질 수도
"김치는 한국음식" 말한 햄지…中소속사 "모욕" 퇴출시켰다
냉동트럭에 시신 보관…한인 장례업체 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