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 사태로 은퇴 후 현재 생활 수준 유지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는 가구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
보스턴대학 은퇴연구센터가 지난 19일 발표한 연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개선됐던 30-59세 사이 근로자들의 은퇴 후 재정적 안정 전망이 지난해에는 악화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은퇴 후 현재의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 가구가 2019년에는 응답자의 49%였으나 지난해 51%로 증가한 것. 코로나 사태가 경제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면 악화 정도는 예상보다 비교적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경제학자이자 보스턴대학 은퇴연구센터 디렉터인 알리사뮤넬은 “주택가격 상승과 증시 호황이 실업률 급증의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시켰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4년 첫 조사 당시 41%를 나타냈던 은퇴 후 재정 악화 위험 가구 비율은 지난 2007년 40%로 소폭 줄어들었다가 금융 위기를 거치며 10년간 약 50% 수준에서 맴돌았다.
장기간에 걸쳐 재정 악화 가능성이 높은 가구 비율이 증가한 것은 1960년 이후 출생자의 사회 보장 연금 청구 연령이 67세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기대 수명 연장과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은퇴자들의 저축 수입이 줄어든 것도 포함됐다.
은퇴연구센터는 3년마다 발표되는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 재정 조사에서 소득과 재산 자료를 분석해 은퇴 후 재정 악화 위험 가구 비율을 추정하고 있다.
미 30대 여성, 아시아계에 침 뱉고 인종차별 발언했다 체포돼
전두환 차남 전재용, 목사 된다…"교도소서 찬송가 듣고 눈물"
실업수당 300불로…또 줄어든 혜택
'평창 금' 임효준, 중국 귀화... "한국에서 뛸 수 없었다"
'5번째 결혼' 니콜라스 케이지, 아들보다 어린 30살 연하 日 아내와 결혼
필라델피아서 '램지어 규탄' 결의안 첫 채택…'피해자에 모욕'
"여자는 軍 안가서···" 면접후기에 '생리대왕' 동아제약 발칵
추미애 '당해보니 알겠다…조국 가족, 장하다'
미 상원, '2천140조원' 초대형 부양법안 통과…내주 하원표결(종합)
"백신이 올해 경제 회복 이끈다"…신흥국은 내년에야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