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힘 내세운 트럼프, “불확실성의 시대’ 열었다

제 45대 미국 대통령 공식 취임
(전승훈 기자 hun@cktimes.net)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 45대 대통령 취임식이 20일 워싱턴 DC에서 90만 명의 인파가 모인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장에 등장하기 직전 렌즈에 잡힌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

도널드 트럼프가 20일(현지시간) 수도 워싱턴DC의 연방의회 의사당 앞 광장 특설무대에서 취임식을 하고 세계 최강국 대통령으로서 4년의 임기를 시작했다.

억만장자 부동산재벌 출신으로 공직과 군 복무 경험이 없는 '아웃사이더' '트럼프 시대'의 역사적인 개막이다.




철저한 국익 중심의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한 트럼프 정권의 출범은 동맹과 자유무역을 두 축으로 구축돼온 전후 70년 세계 질서의 대대적인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트위터 140자'의 '위협'으로 거대 기업의 투자를 끌어내는 등 미증유의 마피아 보스식 국정운영의 파장은 지구촌을 강타할 전망이다.

오전 11시30분 개회사에 이어 트럼프 부부와 마이크 펜스 부통령 부부가 나란히 손을 잡고 의사당 중앙 계단을 걸어 내려오자 “USA, USA”를 외치는 연호가 터져 나왔다. 트럼프는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길게 맨 빨간 넥타이, 퍼스트레이디 멜라니아는 재클린 케네디가 즐겨 입던 하늘색 정장에 긴 장갑을 낀 모습이었다.

연단에 앉은 힐러리 클린턴은 가끔 미소를 보이긴 했지만 무거운 표정이었다.

트럼프의 취임사엔 선거전 내내 입버릇처럼 외치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란 구호가 여러 차례 등장했다. 유달리 짧고 쉬운 단어를 많이 구사했다. 알아듣기는 쉽지만 울림은 부족했다. “우리는 위대하다”는 말만 반복했지 어떻게 위대해지겠다는 비전은 들리지 않았다.

확연히 눈에 띈 건 이날 취임식에 모인 인파 90만 명 중 90%이상이 백인이었다는 점이다. ‘인종의 용광로(melting pot)’인 미국의 다양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20분가량의 짧은 취임 선서가 끝나고 예포 21발이 발사되면서 분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하지만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당시 보였던 시민들의 감동이나 감격의 눈물은 보이지 않았다. 지난 1년 반 동안 트럼프의 유세장에서 쭉 봐 왔던 격한 함성과 이글거리는 눈빛이 넘쳤다.

그러나 새 정권의 출범을 알리는 통합과 축제의 무대가 돼야 할 취임식은 '분열적' 대선전의 후유증 탓에 '반쪽 행사'로 전락했다.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에 따른 '정통성 시비'가 일면서 흑인 인권운동의 아이콘인 존 루이스(민주•조지아) 하원의원 등 의원 60여 명이 취임식 보이콧을 선언했으며 수십만 명의 '반(反) 트럼프' 시위자들이 워싱턴DC로 몰려들었다.

이 때문에 백악관과 의사당 주변은 사실상 완전한 통제 상태가 됐다.

경찰과 주 방위군 2만8천여 명이 취임식 행사장 안팎을 지키고 있으며, 시 외곽에도 병력 7천800명이 추가로 투입됐다.

'트럼프 시대'는 전후 질서가 시험대 위에 오를 전망이다.

그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나토 동맹 무용론을 제기하고 유럽연합(EU) 흔들기에 나선 데 이어, 적대국인 러시아를 끌어들여 주요 2개국(G2)으로 부상한 중국을 견제하고 유엔조차 '사교 클럽' 취급을 하는 등 전후 질서의 대변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선 최대공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보호무역의 파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그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흔들고 중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보복에 나설 경우 G2 갈등이 격화해 그 파장이 한반도에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윌버 로스 상무장관 내정자는 18일 인준청문회에서 "중국은 최대 보호무역국가이다. 철강과 알루미늄 덤핑에 고관세를 물리겠다"며 무역보복을 예고했다.

국내적으로는 취임 즉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이민 행정명령'을 폐기하고 불법이민 단속에 나서는 동시에, 대표업적인 건강보험 '오바마케어'를 폐기하고 대체법안 마련을 추진하는 등 진보 정권 8년 지우기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G2 갈등이 격화해 그 불똥이 튀고 트럼프 정권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거나 한미 FTA까지 고치자고 들면 한•미 동맹이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경한 트럼프 안보진용이 군사옵션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밝히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둘러싼 상당한 긴장이 조성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