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1월 미 고용통계 '착시 현상'…실업률 최저치라는데 새 일자리는 줄었다?

폭설로 일 못해도 취업자로 집계…임금 안 준 기업들 '미고용' 분류
제조업 일자리 12년 만에 최고…지표 제대로 읽어야 경기 알아

지난 주말 월가에선 고용통계를 둘러싸고 한바탕 논란이 벌어졌다. 노동부가 발표한 두 가지 고용통계가 정반대 방향을 가리켰기 때문이다.

먼저 1월 실업률이 9%로 21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깜짝' 호재가 나왔다. 불과 두 달 만에 0.8%포인트가 떨어진 것이다. 실업률 하락을 학수고대해왔던 월가로선 반색할 통계였다. 그런데 노동부가 이날 함께 발표한 1월에 새로 생긴 일자리는 3만6000개에 불과했다. 14만~15만 개를 예상한 월가의 기대치에 한참 못 미쳤다.

노동부가 발표하는 실업률과 신규 일자리 통계는 월가는 물론 세계 금융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경기지표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에 따르면 고용통계는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것인지를 무엇보다 명확하게 보여주는 이정표"이기도 하다.

그런 고용통계가 서로 다른 신호를 내면 세계 경제의 향방도 헷갈릴 수밖에 없다.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착시현상이 큰 이유다. 실업률과 새 일자리 두 고용통계는 작성방법부터 다르다. 실업률은 6만 표본가구에 전화를 걸어 조사한다. 이와 달리 일자리 통계는 12만 개 기업이 매달 12일이 낀 주에 정기적으로 보내는 보고서를 토대로 작성한다.

평소 월가는 일자리 통계를 더 신뢰한다. 표본숫자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 1월처럼 기록적인 폭설로 일을 못한 일용직 노동자가 무더기로 나올 땐 사정이 달라진다. 가구 전화 조사에선 며칠 일을 못한 일용직 노동자도 취업자로 분류된다. 반대로 일당을 주는 기업은 일을 안 한 일용직은 고용하지 않았다고 보고한다.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 데이비드 그린로는 "날씨 요인이 없었다면 1월 신규 일자리는 15만 개에 달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1월 폭설이 고용통계에 '착시현상'을 유발한 셈이다.

고용통계가 엇갈리게 나오긴 했지만 월가의 평가는 낙관론으로 기울고 있다. 신규 일자리가 기대에 못 미쳤으나 내용면에선 나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4만9000개 늘었다. 1998년 8월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였다.

정경민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