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 '류경'을 떠난 집단 탈북자들

김학천/치과의사

하루는 김삿갓이 배도 고프고 날이 저물자 하룻밤 묵고 갈만한 집을 발견하고는 문을 두드렸다. 때 마침 나온 사람은 모친상을 당한 상주였다. 그는 배가 고파 먹을 것을 청하는 김삿갓에게 식사대접을 하면서 자신이 본디 신분이 천하여 글을 몰라 모친이 돌아가신 것을 알리지 못해 안타까운 신세니 부고 한 장 써 줄 것을 간청했다.

그러자 김삿갓은 "그거야 어려운 일이 아니요, 내가 써 주리다" 하고는 차려 준 밥을 허겁지겁 먹은 후 '연월일시(年月日時)에 류류화화(柳柳花花)'라 써 주었다. 직역하면 '모년 모월 모일 모시에 버들버들 꽃꽃'이니 '버들버들 하던 몸이 꼿꼿하게 죽었다'는 뜻이었다. 그러고 보니 류화(柳花)란 삶과 죽음을 일컫는 말이겠다. 해서 버드나무는 지금도 몽골에서는 샤먼의 나무이고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상징하는 생명의 상징이지만 동시에 희생이 따르는 나무이기도 하다.

신라 혜통스님이 당나라에 있을 때 그곳 공주의 병마에 붙은 용을 쫓아 주었더니 화가 난 용은 신라로 들어가 많은 사람을 해쳤다. 이 사실을 마침 당나라에 사신으로 와있던 정공에게서 전해들은 스님은 신라로 돌아와 그 용을 다시 쫓아내 버렸다. 그러자 용은 정공에 원한을 품고 버드나무로 변신해 그의 집 앞에 자라났는데 정공은 이 사실을 모른 채 그 버드나무를 무척 좋아했다. 후에 효소왕이 승하한 부왕의 장례로 길을 닦다가 정공의 집 앞에 있는 버드나무를 없애려고 했다. 그러나 정공이 자신의 목은 벨망정 버드나무는 벨 수 없다고 하자 왕은 그의 목을 자르고 집도 묻어 버렸다. 그러고 나서야 용은 혜통스님의 설법에 감읍하고 참회했다.

이런 전설을 갖고 있는 버드나무는 언 땅이 녹고 봄이 오면 노란 꽃가루를 흩날리며 봄을 알린다. 새 생명의 부활인 셈이다.



고구려를 세운 고주몽 모친의 이름도 류화(柳花)였다. 그래서 그랬는지 고구려는 몇 번의 천도 끝에 버들이 우거지고 꽃이 만발한 마을을 찾아 류화(柳花)라 하고 수도를 정해 류경(柳京)이라 불렀는데 이곳이 오늘의 평양이다. 그런 후 고려는 평양을 서경이라 하고 수도 개성을 왕경이라 불렀다. 모든 백성들의 삶과 고통의 소리에 열려 있는 마을(개성)이 바로 나라님이 계신 곳이란 뜻이다.

얼마 전 집단 탈북이란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곳도 바로 류경식당이었다. 이들 젊은 여성 종업원들이 속해 있다는 평양 류경호텔이나 목숨 건 필사의 탈출을 벌인 류경식당 모두가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류화 마을의 이름 값 때문이 아닐는지.

김삿갓은 이런 시로 한탄한 적도 있다. '읍호개성하폐문(邑號開城何閉門), 마을 이름은 개성(開城)인데 어찌 문은 닫혀 있는지'라고. 북한이 나라 문을 굳게 걸어 닫고 세상과 등진 채 고립되어 미사일과 핵실험으로 일관하며 무력도발만을 일삼고 있음을 이미 예견이라도 한 걸까? 북한은 이제라도 '개성(開城)하지 않으면 류류화화(柳柳花花)'할 수도 있다는 예견을 깊이 새겨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