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소셜연금·웰페어·보험 등 '노인사기' 극성

'수령금 인상' '인터넷 정보 갱신' 한다며
공무원 사칭 전화나 방문 개인정보 요구
지난해 노인 5명 가운데 1명 사기 피해

연방사회보장국(SSA)으로부터 연금을 수령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전화사기가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SSA 직원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재확인한다며 노년층을 대상으로 소셜시큐리티 번호와 생년월일, 부모 이름까지 빼내는 신종사기가 번지고 있다고 관계당국이 경고하고 나섰다.

사기범들은 연금 수령자의 연금이 인상되기 때문에 정보를 재확인해야 한다고 속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금 수령자가 모든 정보를 제공하면 사기범들은 사회보장국에 연락해 연금을 직접 수령하는 은행계좌로 변경해 입금된 연금을 가로채고 있다. 사회보장국 관계자는 이 같은 사기에 당했다는 신고 전화가 전국에서 걸려오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보장국 공무원을 사칭해 돈을 갈취하는 사기는 지난봄부터 성행하기 시작했다. 사회보장국은 지난 3월, 연금 수혜 노년층을 상대로 연금 수령 수표에 문제가 발생했다며 녹음된 전화로 개인 정보를 빼내는 수법의 사기에 대해 2차례나 주의할 것을 당부하는 경고를 한 바 있다. 당시 이 전화를 받은 연금 수령자가 회신 전화를 하면 당사자에게 체포영장이 발부됐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백 달러에 달하는 선불카드를 구입하는 것이라고 알리는 메시지가 나왔다. 이 말을 믿고 선불카드를 구입하면 사기를 당하는 것이다.



사회보장국에서는 이따금 원래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이 수혜자에게 건네졌을 때 초과 금액을 돌려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초과 금액을 갚는 방법은 다음에 받을 금액에서 감해지는 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절대로 선물카드나 선불카드와 같이 추적할 수 없는 지급 방식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SSA 측은 설명했다.

변호사가 가담한 사기도 있다. 이 변호사는 수천 건의 소셜시큐리티 장애수당 청구를 위해 가짜 서류를 작성한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는데 사기범들은 해당 고객들에게 200달러의 수수료를 보내면 추가로 9000달러를 더 받도록 해주겠다고 약속하거나 만약 수수료를 보내지 않거나 거절하면 체포될 것이라고 위협하는 당근과 채찍 방식을 사용했다.

SSA 측은 만약 사회보장국 공무원이라며 누군가 연락하면 즉시 전화를 끊고 지역 SSA 사무실이나 본부 무료전화 800-772-1213으로 전화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상대방이 누구인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절대로 개인정보, 특히 소셜시큐리티 번호는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개인정보를 얻은 범죄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크레딧카드를 만들거나 대출 신청에 사용한다. 만약 사기로 의심되는 전화를 받으면 800-269-0271, 또는 온라인 https://oig.ssa.gov/report로 신고하면 된다.

김병일 기자

"버린 영수증 통해 정보 알아내기도"

노인을 상대로 한 사기 범죄가 극성을 부리는 가운데 미겔 산티아고 가주 53지구 하원의원이 주최한 '노인 범죄 예방 세미나'가 31일 LA양로보건센터에서 열렸다.

가주 보험국은 보험 사기범들이 직접 노인들의 집을 방문해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기범들은 주로 노인들이 자주 다니는 교회나 쇼핑몰, 길거리 등에서 노인들에게 접근하거나 전화로 국세청 직원이나 전기회사 직원을 사칭해 돈을 가로챈다.

가주보험국 피터 메자는 "주로 집에 외롭게 혼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범행이 이뤄지고 있다"며 "보험사 직원이 의심될 경우 보험 라이선스를 보여달라고 한 뒤 해당 회사나 웹사이트를 통해 실제 직원인지 확인하라"고 설명했다. 또 집에 들어와 물건을 훔치는 경우도 있어 문을 열어주지 말라고 강조했다.

한편 LA카운티 검찰은 이메일을 해킹해 돈을 가로채는 스캠 범죄가 극성이라고 밝혔다. 이메일을 통해 인터넷 정보를 변경해야 한다거나 틀린 정보를 주고 새로운 정보를 갱신해야 한다며 노인들을 헷갈리게 한 뒤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다. 또 복권에 당첨됐다며 선금이나 수수료를 미리 보내야 상금을 보내줄 수 있다고 사기 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레니 로즈 LA카운티 검찰은 "인터넷에 취약한 노인들은 모르는 이메일은 아예 열어 보지 말라"고 당부했다.

또 사기범들이 통째로 버린 영수증을 통해 금융정보를 알아 낼 수 있다며 영수증을 잘게 쪼개 버리라고 말했다. LA검찰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 5명 가운데 1명이 사기 피해를 경험했다.


황상호 기자 hwang.sangho@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