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인사회를 이끌 차세대가 필요하다

<송년기획-미주 한인사회의 앞날> 1. 한인사회를 이끌 차세대의 부재
2. 차세대와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3. 변화할 것인가? 진화할 것인가!

하와이 사탕수수 밭에서 시작된 한인 이민사는 2020년에 117주년을 맞는다. 70년대 국비 장학생들을 시작으로 형성된 한인사회는 50여년을 넘나드는 역사를 자랑한다. 그러나 이민 1세대가 은퇴를 하고 있는 시점에서 단체를 이끌 다음 세대가 없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혹은 세대 교체가 이뤄졌다해도 1세대와 2세대 간의 교류나 접점이 없이 전혀 다른 체계로 운영되면서 겨우 단체명만 살아남은 경우도 있다. 미주 한인사회의 존속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재외동포재단이 웹사이트에 명시하고 있는 현황에 따르면 총 6617개의 동포재단이 북미주(미국과 캐나다)에 존재한다. 경제/기업 1943, 한인회 1517, 문화 1364, 교육 1054, 과학/정보기술 409, 친목회/동호회 82 순이다. 놀라운 숫자다. 그러나 과연 이들 중 몇 개의 단체가 향후 100년 혹은 몇 십년을 살아남아 전통을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인사회가 활성기를 벗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민 인구의 감소가 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교회 목회자가 그냥 공항에 나가 기다리면 새로 이민 오는 한 두 가정을 만날 수 있었다던 시대는 가고 없다. 하지만 새로운 이민자의 유입이 줄고 있다고해서 전체적인 재외동포 숫자가 감소한 것은 아니다. 꾸준히 2세 3세가 태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단체를 이어갈 다음 세대가 없는 이유는 상당수의 차세대가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전문직을 얻어 주류사회로 흡수됐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편이 타당하다. 자식 교육을 위해 이민 온 1세대의 희망이 이뤄진 셈이다. 개개인의 입장에선 매우 기뻐할 일이나 한인사회는 집단적으로 경제, 종교, 문화 전반에 걸쳐 ‘빈둥지 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쯤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한인 단체들이 생겨난 배경과 이유다.
단체의 성격을 구분짓기 전에 개인이 모여 집단을 형성한다는 것은 그 시점에서 이미 ‘공익 추구’라는 공통분모를 세운다는 의미다. 언어의 장벽, 문화의 이질감 등을 극복해야 하는 이민자들에게 같은 외양과 언어를 가진 사람들과의 교류는 친목의 수준을 넘어 생존의 차원일 수도 있다. 2007년 세탁협회의 ‘퍼크 규제 강화’에 대한 공동 대처, 2008년 볼티모어 리커 스토어를 겨냥한 패드락법 반대 시위를 시작으로 한 2012년 조닝 변경 반대 시위, 2015년 볼티모어 폭동으로 인한 피해보상 요구 등은 한인들이 ‘뭉쳐서 살 길을 모색’한 예다. 그 외 라이센스 유지를 위한 의무 교육이라든가 공동 구매 등 자구책을 이어가고 있다.

한인회나 봉사 단체의 경우에도 통번역 서비스, 이민 생활 안내 및 상담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고단한 이민자의 삶에 보탬이 돼 왔다. 요약하면 1세대가 만들고 가꿔온 한인사회의 주요 기능은 ‘이민 생활 길잡이’라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왜곡되고 변형된 기능 및 단체간의 불화와 끊임 없는 분열은 차치하고라도 삶이 ‘이민 생활’의 범주를 벗어난 2세들에게 한인사회의 원형은 어쩌면 맞지 않는 옷이다. 그러나 한국어보다 영어가 편하고 어쩌면 한국엔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을 수도 있는 차세대에게 ‘과연 한인사회는 아무 의미 없는 것일까’라고 묻는다면 대답은 당연히 ‘아니오’다.

한국을, 한국 사람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들에겐 ‘한인사회’라는 공동체적 커뮤니티가 더욱 필요하다. 아무리 ‘아메리카나이즈’ 돼도 아시안의 생김새를 갖고 살아가는 동안 ‘코리안 아메리칸’의 분류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순히 정체성의 문제만은 아니다. 정체성은 ‘나’라는 사람의 배경과 역사를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스스로 인식한 세계관을 통해 내가 어떤 삶을 추구할 것인지에 관한 지표를 그리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이민 1세대를 보고 자란 후세대가 그들의 무의식에 녹아든 ‘코리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인사회’를 이해하고 겪어봐야 한다. 그것을 이해시키는 것이 1세대가 직면한 현안이다.


김옥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