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렉스를 닮기는 했지만 크기가 턱없이 작은 화석을 개별종인 '나노티라누스'(Nanotyrannus)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T.렉스의 어린 개체로 봐야하는지 논박이 계속돼 온 것이다.
최근에는 어린 개체 쪽에 힘을 싣는 연구가 이어져 왔는데 뼈를 얇게 쪼개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에 쐐기를 박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와 외신 등에 따르면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의 홀리 우드워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논란의 대상이 돼온 공룡 화석의 정강이와 넓적다리 뼈를 현미경으로 정밀분석한 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화석 뼈의 미세구조를 분석하는 원시조직학(paleohistology)을 이용한 결과, 이 화석의 주인공들이 성체로 다 자라기 전에 죽은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1942년에 발굴돼 '클리블랜드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다가 나중에 나노티라누스로 처음 분류된 공룡 화석인 '피티'와 2001년에 비교적 완전한 형태로 발굴된 화석인 '제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나무와 비슷하게 화석 뼈에 남아있는 나이테를 통해 제인은 알에서 깨어난 뒤 13년, 피티는 15년을 살다가 죽은 것으로 특정했다.
화석 뼈의 나이테 간 공간은 일정치 않았는데, 이는 먹잇감이 풍부했던 해와 그렇지 않은 해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다.
퇴임 후 처음 입 연 트럼프 "뭔가 하겠지만 아직은 아냐"
동양선교교회 임시공동회의 또 충돌…TRO 두차례 승인한 법원
中전문가 '바이든 백신 접종계획 실패 시 내년까지 팬데믹'
백신접종 '예약 대란' 시니어들 속탄다
‘위안부 피해자 1억 배상’ 판결 확정…日 정부 항소 안 해
'후각 상실' 코로나 후유증 美가족, 안 걸린 딸 덕에 화마 피해
"美 전설적인 토크쇼 진행자 래리 킹, 코로나19로 별세"
'중국연계 학자' 색출했던 미국 정부, 일제 사면 검토
손상된 백신약병 빼내 가족에 먼저 맞힌 의사 절도죄 기소
골프 즐기던 호주 남성의 '비운'…떨어진 나뭇가지에 '비명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