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가 되는 김 씨는 벌써 오래전부터소라이아시스라는 피부 질환을 앓고 있었다. 상태가 별로 좋지 않아 4년 전부터 메토트렉세이트(MTX)라는 약을 먹기 시작했다. 이 약은 먹으면 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하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간의 염증 상태를 알려주는 ALT 수치가 100 이상으로 올라갔다. 환자는 별 이상을 못 느꼈지만, MTX로 인한 간의 염증이 아닌지 의심이 갔다.
이 약은 피부 질환인 소라이아시스뿐만 아니라 류머티즘 관절염 등 여러 계통의 질환에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간에 생길 수 있는 손상은 여러 범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지방간이나 간 경화로까지도 진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상의 정도는 환자가 복용한 MTX의 양과 얼마나 (정기적으로) 복용했는지에 달려있다. 또한 간 질환이 유발될 가능성은 환자의 연령과 병력에 따라 높아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및 간 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는 MTX를 복용하기가 어렵다. 이외에도 당뇨와 비만이 심한 환자는 간 질환이 유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다행히도 김 씨는 피부 질환 외에는 아무 병력이 없다. 그러나 ALT 수치는 100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 조직 검사를 한 결과 간에 약간의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결국 MTX를 중단하고 다른 약으로 바꾸었다.
현철수 박사 - 마이애미 의대 졸업. 예일대병원 위장, 간내과 전문의 수료. 로체스터 대학 생물리학 박사,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 스토니브룩, 코넬 의대 위장내과, 간내과 겸임 교수. 현재 뉴저지주 의료감독위원회 위원, 아시안 아메리칸 위암 테스크포스와 바이러스 간염 연구센터를 창설, 위암 및 간질환에 대한 캠페인과 문화, 인종적 격차에서 오는 글로벌 의료의 불균형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파우치 마스크 발언, 한입으로 두소리 "쓰지 마라 vs 2개 써라"
백신 접종, 직종에서 나이순으로…50세 이상 먼저…뉴섬 "재조정 계획 검토"
'후궁 발언' 조수진 고소한 고민정 "참아 넘기지 않겠다"
시진핑, 문 대통령과 통화 “코로나 안정되면 조속히 방한”
한인 IRS 조사관 기소…신분도용·송금사기 등 혐의
상원 탄핵심판 준비착수…'퇴임대통령 탄핵은 위헌' 주장 기각
바이든 취임 6일 만에 이민정책 타격…법원 '추방유예' 제동
공익제보자 수사 동조한 박범계, 과거 ‘보호법’ 3차례 발의
바이든, 취임초 60% 전후 지지율 기록…'트럼프 때보다 높아'
'세대변화' 달라진 LA한인회 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