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여러 대학의 연구 조사 결과,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약들이 너무 자주 처방된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한 예로 65세 이상 노인들의 15% 이상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약을 두 가지 이상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하게 처방되는 약들은 진통제, 진정제, 우울증약 등으로, 주로 노인들이 많이 복용하는 약들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처방해 준 약들을 잘 살펴보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이 복용하는 약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이중으로 복용하는 약들도 많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많은 의료 문제가 다중으로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여 생기는 부작용 때문에 일어난다.
특히 한국의 약국에서 약을 져 주는 것을 보면 약들의 이름을 알기가 힘들다. 봉지 안에 여러 종류의 약들이 함께 들어가 있는 것이다. 좀 호기심이 많은 환자가 어떤 약이냐고 물어보면 귀찮다는 듯이 그냥 식후나 식전에 지시대로 복용하기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설명할(?) 뿐이다.
미국에서는 약사가 약을 지을 경우, 다른 약을 하나의 용기에 절대 섞지 않는다. 종류별로 병에 각각 집어넣어 주고, 약 이름을 기재한 라벨을 그 병에 꼭 붙인다. 또한 약의 부작용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방침은 환자가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제들에 대해 알고 조심하게 하려 함이다.
아는 만큼 효과 보는 약
의사와 약사는 한마음 한뜻으로 일반인이 약에 대한 인식을 높이게끔 교육과 계몽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의사는 환자가 다른 의사에게 처방받아 복용하는 약이 무엇인지 꼭 물어보아야 할 것이고, 환자가 약의 이름과 부작용에 대해 파악하도록 충분한 설명과 상담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현철수 박사 - 마이애미 의대 졸업. 예일대병원 위장, 간내과 전문의 수료. 로체스터 대학 생물리학 박사,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 스토니브룩, 코넬 의대 위장내과, 간내과 겸임 교수. 현재 뉴저지주 의료감독위원회 위원, 아시안 아메리칸 위암 테스크포스와 바이러스 간염 연구센터를 창설, 위암 및 간질환에 대한 캠페인과 문화, 인종적 격차에서 오는 글로벌 의료의 불균형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파우치 마스크 발언, 한입으로 두소리 "쓰지 마라 vs 2개 써라"
백신 접종, 직종에서 나이순으로…50세 이상 먼저…뉴섬 "재조정 계획 검토"
'후궁 발언' 조수진 고소한 고민정 "참아 넘기지 않겠다"
시진핑, 문 대통령과 통화 “코로나 안정되면 조속히 방한”
한인 IRS 조사관 기소…신분도용·송금사기 등 혐의
상원 탄핵심판 준비착수…'퇴임대통령 탄핵은 위헌' 주장 기각
바이든 취임 6일 만에 이민정책 타격…법원 '추방유예' 제동
공익제보자 수사 동조한 박범계, 과거 ‘보호법’ 3차례 발의
바이든, 취임초 60% 전후 지지율 기록…'트럼프 때보다 높아'
'세대변화' 달라진 LA한인회 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