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효소제 외에도 소화제에는 제산제, 위 운동 촉진제, 가스 제거제 등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복합 성분들이 탄소화 물질, 지방질, 단백질 그리고 섬유질 등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위 안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러 있을 때 위산 분비가 강화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산의 영향으로 더욱더 불편해질 때 제산제나 위산 분비 억제제를 이용해 산성을 중화시킬 수 있다.
또한 건위제를 통해 무력한 위의 운동성을 촉진하고, 가스를 제거하는 성분들은 일시적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
습관적 복용의 위험성
많은 사람의 생각과는 달리 습관적인 소화제 복용은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첫 번째 이유로, 알레르기 반응을 비롯해 불필요한 복용은 습관성 기질을 길러 줄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생활습관병의 주요 원인인 그릇된 식사 습관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치는 예방 의식을 갖지 못하고, 늘 약에 의존하여 잘못된 습관을 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오늘은 회식이 있으니까 소화제가 필요하겠지?”라며 미리 예방(?)하는 것은 참된 예방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소화제를 남용하지 말라는 말이지, 아예 복용하지 말라는 말은 아니다. 소화제 한두 종류를 비상용으로 챙겨 두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두 번째 이유는, 지속적인 약의 복용이 심각한 질환의 적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여 자칫하면 질병의 발견 시기를 늦추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배에 가스가 차고 더부룩하며 아프고 식욕마저 줄어든다면, 이러한 증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병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아니, 통증이 없더라도 배 부위에서 느끼는 지속적인 불편함의 원인은 검진을 통해 파악해야 할 일이다. 단순한 소화 불량이려니 자가 진단하여 동네 약국에만 의존하지 말고, 때에 따라서는 전문의에게 정밀 검진을 받아야 한다.
현철수 박사 - 마이애미 의대 졸업. 예일대병원 위장, 간내과 전문의 수료. 로체스터 대학 생물리학 박사,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 스토니브룩, 코넬 의대 위장내과, 간내과 겸임 교수. 현재 뉴저지주 의료감독위원회 위원, 아시안 아메리칸 위암 테스크포스와 바이러스 간염 연구센터를 창설, 위암 및 간질환에 대한 캠페인과 문화, 인종적 격차에서 오는 글로벌 의료의 불균형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파우치 마스크 발언, 한입으로 두소리 "쓰지 마라 vs 2개 써라"
백신 접종, 직종에서 나이순으로…50세 이상 먼저…뉴섬 "재조정 계획 검토"
'후궁 발언' 조수진 고소한 고민정 "참아 넘기지 않겠다"
시진핑, 문 대통령과 통화 “코로나 안정되면 조속히 방한”
한인 IRS 조사관 기소…신분도용·송금사기 등 혐의
상원 탄핵심판 준비착수…'퇴임대통령 탄핵은 위헌' 주장 기각
바이든 취임 6일 만에 이민정책 타격…법원 '추방유예' 제동
공익제보자 수사 동조한 박범계, 과거 ‘보호법’ 3차례 발의
바이든, 취임초 60% 전후 지지율 기록…'트럼프 때보다 높아'
'세대변화' 달라진 LA한인회 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