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2019년 말에 SECURE ACT라는 새로운 법 규정이 발표되었는데, 그 내용에 IRA 등을 상속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01(K), 403(B), TSP나 Pension 등의 소득세 공제를 받으며 은퇴자산을 증식하는 방법을 소위 Qualified Plan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자산은 불입 시 소득 공제를 받고, 수익에 대한 부분도 세금 납부를 유예받아 세금을 내야 하는 부분을 자산증식에 재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렇게 연기된 소득세는 은퇴한 후 인출할 때 부과됩니다. 이 자산이 배우자에게 상속될 경우에는 배우자가 소유권을 인계받아 최초 가입자와 동일한 규정을 계속해서 적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배우자가 아닌 자녀나 제 3자가 상속받는 경우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일시불로 전액을 인출하는 경우와 몇 년에 걸쳐 나눠서 인출하는 경우입니다. 일시불로 전액 인출을 하면, 소득세율에 영향을 끼쳐 상속자의 소득세 부담에 대한 고려가 우선시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SECURE ACT의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배우자가 아닌 자녀 등 제3자가 상속할 경우 과거 종신에 나눠서 받을 수 있었던 규정을 없애고 전액을 10년 안에 모두 인출해야 한다는 규정으로 바뀌었습니다. 일시불 전액 인출보다는 나눠서 받으니 소득세 부담이 덜할 수 있겠지만, 10년이라는 단기간 내에 전액을 인출해야 한다는 뜻이므로, 상속 금액에 따라서는 소득세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남아있게 됩니다.
고려해 볼 대처 방안은, 현재 IRA나 401(K) 금액의 일부를 부분 인출하여 생명보험에 가입해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생명보험의 사망보상금은 현행 세법상 소득세의 부과 대상이 아니니 가입자의 사망 시 수혜자는 생명보험의 사망보상금을 소득세 부담 없이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흔히 상속세의 방어수단으로 생명보험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니 비슷한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401(K)나 IRA의 인출 시 발생하는 소득세에 대해 대처 방안으로 생명보험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의: (213) 448-4246
"中바이러스다, 죽이겠다" LA한인타운서 한인 무차별 폭행
레이디 가가 애견 산책 도우미 총격...2마리 도난
"공짜로 거물 태운셈"…우즈와 제네시스 대회 4년 악연
"타운도 안전지대 아니다" 대책 시급
과속 차량 쫓던 LA 교통 경관, 충돌 사고로 즉사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핫바지 된 文, 통제 못한다"
'위안부 망언' 램지어 '매춘계약서 없어…실수했다' 동료에 실토(종합2보)
타이거 우즈, LA 종합병원으로 옮겨져…'치료·회복 목적'
“불안하겠지만, 모든 국민 맞았으면”…부산 백신접종 현장 가보니
하버드 아시안 차별 대법원으로…입학 차별 1·2심서 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