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학 이야기] '우주는 넓고 발견할 것은 많다'…시민과학자 개가 잇달아

우주가 광활하고 천문학에 관심을 가진 시민과학자들이 늘어나면서 '아마추어'의 활약도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이 놓친 지구 두 배 크기의 희귀 외계행성 'K2-288Bb' 발견에 결정적 도움을 주는가 하면, 카이퍼 벨트의 1㎞급 소천체를 아마추어 장비로 관측해 행성 형성의 '잃어버린 고리'를 확인하는 등 학계에서도 주목하는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는 태양의 미래가 될 수 있는 '특이한' 백색왜성도 찾아냈다.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LSPM J0207+3331'로 명명된 이 백색왜성은 NASA의 '백야드 월드:플래닛 9' 프로젝트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해 적외선 관측자료를 분석해온 독일의 시민과학자 멜리나 테벤노트가 발견했다.

테벤노트는 약 145광년 떨어진 염소자리에서 발견된 이 천체를 처음에는 '갈색왜성'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갈색왜성은 항성보다 작고 행성보다는 큰 낮은 온도의 천체로, 테벤노트가 참여해온 프로젝트에서 찾고자 하는 주요 목표였다. 이 프로젝트는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천체물리학자 마크 쿠흐너가 2년 전부터 진행해 온 것으로, 자원봉사자들이 온라인으로 검색엔진을 통해 광시야 적외선 탐사 위성 '와이즈(WISE)'의 관측자료를 들여다보고 갈색왜성을 비롯한 새로운 천체를 찾는다.

테벤노트가 발견한 천체는 그러나 갈색왜성이라기엔 너무 밝고 멀리 떨어져 있어 백색왜성일 것으로 추정됐으며,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의 백색왜성 전문가 존 데베스 등의 도움을 얻어 하와이 W.M.켁 관측소의 켁Ⅱ 망원경으로 추가관측을 했다.

그 결과, J0207은 약 30억년 된 백색왜성으로 지금까지 관측된 백색왜성 중에서는 가장 오래되고, 온도도 화씨 1만500도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왜성은 태양보다 약간 작거나 수배에 이르는 별이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표면의 물질을 방출한 뒤 남은 청백색의 별을 지칭한다. 핵융합반응 없이 시간이 흐를수록 온도가 떨어지다가 전혀 빛을 내지 못하는 암체로 생을 마감한다. 앞으로 태양이 겪게 될 미래라는 점에서 이에 관한 자료는 귀중한 가치를 갖는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