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강훈의 생생(生生)경제이야기] 주식투자 기본상식 - 자산배분 ①

“포트폴리오 변동성은 90% 이상이 자산배분에 달렸다”

지난 호에는 미국과 같은 투명성과 안정성을 갖춘 금융시장에서 수익성 높은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 투자수익률(investment return)에 관한 정확한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A와 B라는 가상의 투자자들이 각각 100,000달러를 투자하고 평균 7%의 투자수익률로 10년 후의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놀랍게도 마치 B보다 낮은 수익률을 유지한 것 같았던 A의 계좌잔액이 10년 후에는 B보다 더 높았다. 그 이유는 A의 투자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적게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변동성(volatility)이 낮았기 때문이다. 즉 성공적인 장기적 투자는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데에 달려 있는데 이것은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자산배분이란 주식(국내주식, 해외주식 등)과 채권(국채, 회사채 등) 그 외의 특성이 다양하고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군(asset class)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이다.

참고로 자산배분의 원리는 1990년 노벨상 수상자인 해리 마코위츠라는 학자가 1952년에 발표한 연구가 발단이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그 후로 많은 학자들과 전문가들이 그의 이론을 입증해 왔고,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90% 이상이 자산배분에 달렸다는 해답도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확증되어 왔다. 역으로 보자면, 증권선택(security selection)이나 증권매매의 시점(market timing)은 투자수익률을 올리는 데에는 거의 아무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고도 볼 수 있겠다.

자산배분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위험성과 보상(risk and reward)
2. 자산군(asset class)
3. 상관관계(correlation)

투자를 할 때 특히 자산배분을 고려할 때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은 위험성과 보상이 불가피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이다. 즉 위험성이 높으면 보상도 높다. 주식은 채권보다 위험성이 높고 채권은 현금보다 위험성이 높다. 투자 이론상 위험성은 변동성이라고 정의하는데 변동성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표시된다. 즉 위험성이 높은 투자는 변동성이 높고 변동성을 알기 원하면 표준편차를 찾아보면 된다.

표준편차(위험성)가 투자수익률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S&P 500지수를 통해 살펴보겠다.

S&P 500이란 Standard & Poor’s 500의 약칭인데 글자 그대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 Poor’s)라는 신용평가 기관이 작성한 주가지수이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00기업으로 형성된 미국의 대형기업(large cap)을 대표하는 지수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역사적으로 S&P 500의 연 평균 투자수익률은 약 10%이고 표준편차는 21.9%정도이다. 통계학적으로 연 10%의 투자수익률이 21.9% 변동하는 확률이 68%라는 뜻이다. 즉 일 년 동안 높으면 31.9%(10%+21.9%)까지 올라가고 낮으면 -11.9%(10%-21.9%)까지 내려갈 수 있다.

그리고 표준편차가 두 배(21.9%x2=43.8%)로 변동하는 확률은 95%이고, 세 배(65.7%)로 변동하는 확률은 99%이다. 다시 말해서 투자수익률이 53.8%부터 -33.8%로 이루어질 확률은 95%이고, 99.7%의 확률로 75.7%부터 -55.7%의 결과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손실 가능성의 측면으로 보게 되면 -11.9% 손실확률은 15.9%, -33.8%가 2.3%, -55.7%는 0.14%라고 보면 된다.

지금까지 미국 대기업들의 평균 투자수익률과 변동성을 살펴봤는데 그렇다면 소형기업(small cap)들은 어떠할까? 한인들에게도 지명도가 높은 대형기업들인 마이크로소프트나 아마존 또는 애플도 상장한 후 한 때는 소형기업으로 간주되었었다. 그 당시에 투자했었다면 지금쯤은 엄청난 투자수익을 올렸을 텐데 소형주는 그만큼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다. 1925년에 1달러를 대형기업에 투자했다면 약 90년 후인 2018년에는 7,030달러로 탈바꿈했을 것이다. 반면에 소형기업에 투자했으면 얼마가 됐을까? 10,000달러? 20,000달러? 정답은 32,655달러이다. 대형기업의 4.6배다.

그러나 수익률이 높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가? 그렇다. 위험성 즉 변동성이 높다는 뜻이다. 소형기업의 연 평균 투자수익률은 약 11.8%이므로 대형기업의 평균 수익률인 10%보다 높다.

반면에 표준편차는 37.3% 정도이다. 상대적으로 상당히 위험성이 높은 투자라고 보겠다. 위험성이 높으니 보상도 그만큼 클 수가 있다. 위에 언급한 90년 후의 투자결과가 그 가능성을 입증해 준다.

참고로 미국의 장기 재무채권(long-term treasury bond)의 연 평균 투자수익률과 표준편차는 5.5%와 9.3%이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위험성이 없다고(riskless asset) 간주되는 미국 재무증권(treasury bill)은 3.3%와 1.5%이니 매우 안전하다. 1925년부터 2018년까지 90여년간 1달러를 투자했을 경우 장기 재무채권은 142달러로 성장하고 재무증권은 21달러가 된다. 위험성이 낮고 안전하니 보상도 상당히 낮다.

자산배분을 고려할 때의 또 한가지 요소는 주식이나 채권 등으로 형성된 자산군(asset class)이다. 주식은 대형주식, 중형주식, 소형주식, 해외주식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해외주식은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으로 혹은 유럽, 아시아 등 지역별로도 분류할 수도 있다. 채권도 마찬가지로 국채, 회사채, 외채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고 그 외에도 단기채권, 장기채권 등으로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이 외에도 부동산, 원자재 등의 자산군이 있다.

자산배분은 각 자산군의 위험성과 보상이 밀접하게 얽혀 있어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형성하는 것이 관건인데 그것에 관한 것은 다음 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필자 소개
Hoon Kang, Cultivant LLC | Financial Planners & Investment Advisors | 206.486.8701 | hoon@cultivant.com | Cultivant.com

ㆍ강훈 공인회계사(공인재무설계사, 공인재무상담사, 공인생명보험사)는 30 여년의 경험과 노하우로 은퇴설계, 자산운용, 세무전략, 유산상속전략, 생명보험 등 포괄적인 재무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eloitte 감사부, PricewaterhouseCoopers 세무부, Cultivant LLC 대표, Elliott Bay Insurance 대표의 경력과 East King County Estate Planning Council 전 회장, Seattle's Union Gospel Mission 전 이사 및 투자 자문, Northwest Family Business Advisors, Bothell-Kenmore 상공회의소, Korean American Professionals Society 창립 멤버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해왔다. (편집자주)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