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민 2,3세대까지 소득 격차 ‘대물림’

유색계그룹 고용차별 여전히 뿌리깊어 고실업률, 저임금 ‘이중고’

온주 실태보고서

캐나다가 오래전부터 복합문화주의를 내걸고 다민족-관용사회를 강조하고 있으나 온타리오주고용시장에서 인종차별이 여전히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민간싱크탱크인 ‘캐나다 정책대안센터(CCPA)’가 내놓은 관련보고서에 따르면 온주의 소수유색계 주민들은 백인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업률이 높고 저임금 일자리에 몰려있어 소득도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지난 2016년 유색계 여성 근로자의 경우,임금이 백인계가 1달러를 벌때 58센트로 10년전보다 5센트 늘어나는데 그쳤다. 2016년 연방통계청의 인구센서스에서 온주 전체 주민중 유색계 비율은 2006년 23%에서 26%로 증가했다.




이와관련, CCPA의 셀리아 블록 경제수석은 “고용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것”이라고 지적했다. “소수계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이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백인계 여성과 남성의 실업률은 각각 7%와 6.4%로 집계된 반면 유색계 여성과 남성은 각각 10%와 8.7%로 평균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고 밝혔다. 전통적으로 고용을 주도해온 제조업계에서 지난 2006년 이후 일자리가 계속 사라지면서 백인계를 포함해 전체 중산층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부터 10년 기간 백인계 남성의 실업률이1.4% 증가했으나 주로 이민출신이 유색계 그룹은 더 나쁜 상황을 겪었다. 또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유색계 여성은 백인계 그룹과 비교해 ‘저임금의 불안한 일자리’에 연연하고 있는 비율이 25%에 달했다. 블록 경제수석은 “10년간 고용차별과 소득 격차가 거의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한 사회적의 인식은 이민자들이 한번은 겪은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현실은 이와 거리가 멀다”며“이민출신 근로자들 사이에서도 인종에 따른 소득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에 담긴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이민출신 백인계의 소득 1달러당 유색계는 70센트로 격차가 30%에 이르고 유색계 여성 이민자는 78센트에 머물고 있다.


새 이민자의 정착 시간이 오래될 수록 소득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이같은 실태가 이민 2세와 3세대에 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백인계 위주의 온주 기득권층이 언급자체를 꺼리고 있으나 고용차별은 현재도 진행형으로 또 새 이민자들의 피부색에 따라 차이가 크다”고 지적했다. 흑인과 남미, 필리핀 출신 이민자들은 온주에 오래 거주해도 차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블록 경제수석은 보수당정부가 지나 6월말 출범 직후 강행한 노동법 개정 조치에 대해 “정책방향을 잘못잡은 것”이라고 비판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보수당정부는 지난해 당시 자유당정부가 제정한 노동법을 대폭 수정해 시간당 최저 임금과 병가 유급 휴가, 임금 평등 지급 등 조항을 동결 또는 백지화했다.


이로인해 내년 1월1일로 예정된 최저임금 15달러 규정은 폐기됐으며 앞으로 수년간 14달러선으로 묶였다. 이에대해 블록 경제수석은 “보수당정부는 이같은 조치는 무엇보다 소수 유색계 근로자들이 바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들을 포함해 취약층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펼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