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 빵집의 젠트리피케이션

나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정해지는 시장경제를 오랫동안 지지해 왔다. 월마트 같은 대형업체의 등장도 반겼다. 주머니가 가벼웠던 내게 싼값에 물건을 살 수 있는 이런 대형 마켓의 등장은 희소식이 아닐 수 없었다.

80년대에 내가 즐겨 다니던 업소의 대부분이 통폐합으로 없어졌다. 이제는 남가주 어느 쇼핑몰을 가도 같은 이름의 체인점들이 들어서 있다. 이런 대형 체인점은 눈에 익은 물건과 진열, 영수증만 있으면 어디서나 교환과 반품을 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상가의 대형화에 처음으로 거부감을 느낀 것은 즐겨 가던 동네 빵집이 문을 닫은 후의 일이다. 유럽의 어느 작은 마을에서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외모의 주인이 운영하는 가게였다. 다양한 종류의 빵을 매일 새벽 구워서 팔았는데, 그 양이 많지 않아 주말에 늦게 가면 이미 다 팔린 빵도 있었다. 제법 성업을 이루던 이 가게가 사양길에 들어선 것은 같은 쇼핑몰에 대형 마켓이 들어오고 난 후의 일이다. 이 마켓에는 케이크와 빵을 구워 파는 제빵 코너가 있어 훨씬 싼값에 팔고 있었다. 얼마 후 소문도 없이 빵 가게는 문을 닫고 말았다.

그 가게가 없어지고 난 후, 나는 우리 집 근처에는 빵을 구워 파는 제과점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켓의 제빵 코너는 미리 공장에서 만든 냉동반죽을 틀에 넣어 굽는다. 그나마 잘 팔리는 빵 몇 가지만 구워 판다.



식당 체인점의 메뉴도 미리 공장에서 만들어 냉동이나 냉장으로 들어온 것을 데워서 내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애피타이저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렇게 대량으로 물건을 받아서 만들면 가격은 저렴할지 모르지만 질은 떨어지게 마련이며 식중독에 취약하다. 오염된 상추 때문에 '치폴레' 가 한동안 곤욕을 치른 것이 좋은 예다.

대기업 또는 큰 손들의 입김으로 생겨나는 또 다른 현상이 '젠트리피케이션'이다. 도심 인근의 낙후지역을 재개발하며 외부인과 돈이 유입되고, 원주민이 밀려나는 현상이다. 긍정적인 의미로는, 중하류층이 생활하는 낙후된 지역에 상류층의 유입을 통해 주거지역과 상가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돈 있는 사람들이 중하류층을 밀어내고 자신들이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원래 살던 사람들은 비싸진 주거비와 물가 때문에 결국은 더 낙후한 지역으로 자발적(?) 이동을 하게 된다. 한때는 피부색으로 갈리던 사람들이 이제는 수입으로 갈린다.

이념과 종교를 이유로 기득권을 피해 신대륙으로 이주하여 자유와 평등의 사회를 이루었던 미국이 이제 돈으로 인하여 계층 간을 가르는 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역시 역사는 반복되는 모양이다.


고동운 / 전 가주 공무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