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 부모들이여, 꿈을 깨자

신문을 펼칠 때마다 얼굴을 찌푸리게 하는 광고가 있다. '한국 며느리, 한국 사위, 믿을 수 있는 ○○에서 인연을 만드세요.'

픽 웃음이 나온다. 단일민족 운운하며 외국인과의 결혼에 배타적이던 한국에도 다문화가정이라는 단어가 생겼는데 인종 전시장인 미국에서 한국 사람을 고집하다니. 넌센스가 아닌가.

지난달 부부 동반 모임에서 자연스레 자녀 이야기가 나왔다. 아이들의 배우자는 모두 외국인이었다. 의사 아들은 유대인 여의사와, 의류 디자이너 딸은 백인 회사원과, 약사인 아들은 필리핀 간호사와 결혼했다. 나 역시 변호사인 딸이 대만계 변호사와 결혼했다. 그들은 모두 사랑으로 잘 여문 가정을 꾸려 바라보는 부모 마음이 행복하다.

퓨 리서치의 2012년 통계에 의하면 미주 교포의 2, 3세 중 약 1/3은 다른 인종과 결혼한다고 했다. 따지고 보면 그들이 타인종과 결혼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 생활을 하면서는 다양한 인종과 섞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모와 함께 비즈니스를 하거나 한인 상대의 사업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주류사회에서 활동하는 아이는 한국 배우자를 만날 기회가 없다. 함께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타인종이라는 인식조차 들지 않는다. 더듬더듬 말을 할 때부터 함께 공부하고 먹고 뛰어놀던 친구에게서 어떤 이질감을 느끼겠는가. 아니 어릴 때부터 인권과 평등이 기본인 미국 교육을 받은 그들에게 편견이란 아예 없었다. 아이를 키울 때는 백인 친구든 흑인 친구든 상관없이 반갑게 맞이해야 했다. 조금이라도 호기심 어린 표정이나 언사가 비친 날은 무식하고 저급한 엄마로 낙인이 찍혔다.



백인 사위를 맞이한 분이 있다. 아기를 갖지 못한 그들이 입양을 했는데 히스패닉 아기였다. 백인 아빠와 동양인 엄마에 히스패닉 자녀라니. 가족 구성이 너무 복잡해서 아기를 반갑게 안을 수가 없었다. 그 모습을 본 딸 부부는 엄마에게 실망했다며 저녁도 먹지 않고 가 버렸다.

한국 사위를 원한다며 유난을 떨던 지인에게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마주 앉아 크으윽, 막걸리 한잔하고 싶어서요." 농담 같이 말했지만 진심이었다. 딸 둘만 키운 아버지로서 말도 통하고 정서도 통하는 사위를 아들처럼 거느리고 싶은 마음이 이해는 되었지만, 주위에서는 꿈을 깨라며 핀잔을 주었다. 한국에서 사는 사람도 세대 차이로 대화가 힘들다는데 영어권 아이를 붙잡고 어찌 막걸리 한 잔 공상(?)을 하는지. 세대 차이에 더하여 문화 차이와 언어 소통의 어려움까지 있는 미국에서 그들의 삶과 우리의 삶을 함께 엮으려는 발상은 얼마나 시대착오적인가. 서로 함께 또 따로. 아무 기대를 갖지 말고 우리는 우리끼리 재미있게 살 일이다.

부모가 아무리 현명하고 완강해도 자녀의 삶을 리드할 수는 없다. 아니 리드를 해서도 안 된다. 그저 울타리가 되어 그들의 선택을 축복해 줄 뿐 아무것도 강요해서는 안 된다. 멜팅팟 지구촌을 발아래에 딛고 싱싱한 가지를 뻗어 올리는 우리의 아이에게 청량한 물을 부어주지는 못할망정 한국 사람 운운하며 어리석은 족쇄를 채우지는 말자.


성민희 / 수필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