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론] 트럼프가 고립주의를 고집할 수 있을까

로버트 카플란/외교 저술가

미국인이 미 대륙에 정착했을 때 동부는 개인주의에 적합한 환경이었지만 서부는 달랐다. 물이 부족해 공동체 의식이 필수적이었다. 아이오와는 땅의 100%가 농토지만 건조한 유타는 농토가 3%뿐이다. 이런 척박한 환경에선 "만사가 뜻대로 되는 건 아니다"는 신중한 사고가 중심을 이룬다.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일본을, 냉전 시절엔 소련을 무찌르기 위해 자원을 총동원해야 했다. 미국의 가치를 전파하기 위해 미국이 뻗어나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이념인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이 없었다면 승리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미국인들은 흑인을 노예로 삼고 인디언을 학살한 전과 때문에 씻을 수 없는 원죄를 안고 있다. "선행을 쌓아야 죄를 용서받을 수 있다. 늘 신중해야 한다"는 생각이 미국인의 뇌리에 각인된 이유다.

기술의 발달로 지구는 좁아지고 있지만 지정학적 환경은 사라지지 않는다. 배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려면 5일이 걸렸던 시절엔 미국인들이 고립주의를 진지하게 주장할 수 있었다. 지금 같은 사이버 세상에선 말도 안 되는 얘기다.

미국이 밖으로 나가선 안 된다는 서부 개척자들의 신중론이나, 무모한 군사 개입주의 모두 고립주의만큼 의미 없는 주장이다. 고립주의는 대외적으로 힘을 투사해야 하는 미국의 생래적 수요와도 어긋난다. 힘에 대한 미국의 갈망은 미시시피강 등 미국의 하천들이 카리브해와 연결된 사실로 인해 시작됐다. 가능성으로 가득한 땅과 사람이 살아남기 힘든 땅이 공존하는 미국의 자연은 미국인들을 겸손하게 만들었고, 현실적인 국제주의를 지지하게 만들었다.



현실주의는 고립주의가 아니다. 미국은 유라시아와 떨어진 지역에 있다. 반면 미국의 동맹국들은 독재국가 러시아와 중국 주변에 위치해 있다. 이들 동맹국을 지키는 과정에서 미국은 구세계의 어떤 나라들도 미국이 신세계에서 가졌던 지배력을 얻지 못하게 막을 수 있었다.

미국은 윤리적 목적을 가지고 이 의무에 임하고 있다. 미국이 힘을 행사할 수 있어야 미국의 가치를 전파할 수 있어서다. 동시에 미국은 어떤 나라를 공격할 때에는 그 나라를 다스릴 각오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나라를 점령하는 게 끝이 아니라 그 나라를 정상적인 궤도에 올려놓을 책임이 있다는 뜻이다. 이 또한 서부 개척 시대의 경험을 통해 미국인에게 깊이 낙인된 신중함에서 기인한다. 개척자들은 지배하기 어려운 환경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다.

개척지와 맞닿은 변경에서 그들은 가진 것을 아끼며 엄격한 생활을 했다. 경계를 넘어 앞으로 나아가는 와중에도 그들은 자신을 돌봤다. 다소 전진이 지연되더라도 보급로가 끊기지 않게 애쓴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실용주의의 발현이다. 미국인들이 척박한 서부에 정착하며 치러야 했던 대가였다. 서부 개척이야말로 적대적인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도시를 건설한 미 역사상 첫 모험이었다. 요즘 시대 미국인들이 이 경험에서 심리적으로 멀어질수록 미국 밖의 세상과 만나는 게 힘들어진다.

실제로 미국의 자연환경은 격렬하게 균형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인들은 국가 건설에 노력하면서도 해상국가로서 지는 국제적 책무를 기억해야 한다. 결국 서부의 거대한 사막지대를 건넌 후에야 미국은 해상강국이 될 수 있었다.

핵무기를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는 원칙을 감안하면 해군은 미국 입장에서 최우선의 전략 무기다. 미 해군은 태평양 병참선과 함께 석유 등 에너지에 대한 동맹국들의 접근권도 지켜주고 있다. 이 덕분에 세계질서도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미국은 세계를 이끌 운명을 가진다(이는 아무리 트럼프라도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