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 칼럼] ‘오리엔탈’서 ‘아시안’으로의 여정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한인과 중국인 등 아시안을 호칭하는 영어는 ‘오리엔탈(Oriental)’이었다. 동양인, 그 단어 속에는 동그란 얼굴에 쌍꺼풀 없는 눈, 검은 머리카락의 이미지가 함축돼 있었다. 동양인을 그려 놓은 만화도 그랬다. 동그란 얼굴에 검은 머리, 거기다가 중국 전통 옷과 모자를 씌워 벗어날 수 없는 동양인 이미지를 만들었다. 그러다 2000년대 초반부터 아시안이라는 단어가 나타났다. 미국에서 출생한 2세들은 자신을 ‘아시안 아메리칸’으로 호칭했다. 아시안 아메리칸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미지는 ‘오리엔탈’과 다르다. 공부를 잘하는, 특히 수학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는, 똑똑한 모습과 영어를 부드럽게 구사하는 이미지가 보인다. 지금은 학생 클럽부터 각종 단체 이름에 자연스럽게 ‘아시안 아메리칸’이 들어간다.

‘아시안’이라는 호칭은 사실 투쟁으로 쟁취한 것이다. 50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1968년 11월 샌프란시스코 주립대에서 시작된 파업이 시작이다. 당시 샌프란시스코 주립대와 UC버클리에 다니던 소수계 학생들은 백인 중심의 유럽 문화로 가득 찬 대학에 소수계의 문화와 역사, 언어를 공부할 수 있는 인종학 연구 커리큘럼을 설치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 소수계 단체의 이름은 ‘제3세계해방전선(TWLF)’. 라틴아메리칸학생회(LASO)와 사회행동을 위한 중국대학생협(ICSA), 멕시칸아메리칸학생연합(MASC), 필리핀아메리칸대학생회(PACE), 인디언학생연합, 아시안정치연합 등 아시안 학생 단체들이 힘을 합쳤다. 이들은 학문 연구를 위해 파업을 불사했다. 5개월이 넘게 이어진 파업은 결국 당시 대학 행정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로널드 레이건 가주 주지사의 관심을 끌어냈고 1969년 샌프란시스코 주립대는 미국에서 최초로 인종학과를 개설했다. 그후 대학들은 앞다퉈 인종학을 만들고, 백인 일색이던 교수들도 조금씩 유색 인종 교수들로 채워갔다.

TWLF가 싸울 수 있던 배경에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와 맬컴 X가 불을 지피고 이어갔던 흑인 인식 운동과 인권 운동이 있다. 백인 중심의 사회에 ‘정의와 평등’을 끊임없이 외친 흑인들의 목소리에 자극을 받은 TWLF는 아시안의 정체성을 미 주류사회에 알리는 도전을 시작했다. 앞서 이미 그 길을 걸어가고 있던 흑인학생연합(BSU)은 TWLF를 적극 지원했다. BSU의 지원이 없었다면 아마 ‘아시안’이라는 단어는 훨씬 더 늦게 등장했을지 모른다.

백인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흑인 남성이 사망한 후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라는 구호를 외치는 시위와 캠페인이 미전역을 흔들고 있다. 일부 한인들은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가 위조지폐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조지 플로이드의 범죄 행위는 잘못됐다. 하지만 흑인을 향해서만 벌어지는 경찰의 과잉진압 행위는 고쳐져야 한다.



중앙일보가 주관한 흑인 커뮤니티 초청 대담에서 마커스 머치슨 목사(비영리재단 왓츠업 커뮤니티개발협회 설립자)와 비숍 크레그워샴 목사(기독교 카리스마틱교단 총회 감독)는 흑인들에 대한 ‘조직적이고 제도적인 인종차별’에 대해 한인들에게 자세히 설명했다.

일반인들은 잘 느끼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통계를 보면 드러난다. 예를 들어 지난해 미전역의 도로에서 경찰의 정지 명령을 받은 운전자 2000만 명 중에 1400만명이 흑인이라는 숫자가 그것이다. 그건 불평등이다. 미국 인구의 14%밖에 차지하지 않는 흑인 인구의 비율이 교도소에는 62%를 차지하는 것도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50년 전 아시안들이 목소리를 찾아 나섰을 때 흑인들이 지원했던 것처럼 ‘정의와 평등’을 요구하는 흑인들의 캠페인에 힘이 되는 이웃이 됐으면 좋겠다.


장연화 / 사회부 부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