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학자금 보조 받기 위한 자산 이전 신중해야"

학자금 신청에 대한 이해 101

재산·소득 규모에 상관없이 FAFSA 신청
입학 사정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어
학생 능력·재능 기준으로 지원받을 수도
자산 보험으로 옮길 때는 세금문제 확인


해마다 1월이면 대학 입학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이른바 FAFSA(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라는 학자금 신청서류를 작성하느라 바쁘다. 지난해부터는 접수 일자가 10월 1일로 앞당겨져서 일찍부터 서둘지 않았으면 아마도 뒤쳐졌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인사회에서도 늘 칼리지 플래닝'이나 학자금 재정 등 그와 비슷한 이름들로 워크숍도 많고 세미나도 많다. 칼리지 플래닝을 도와준다는 소위 전문가들도 넘쳐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많은 학부모가 이 부분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고 종종 호도되는 사례들도 발생한다.

가장 흔한 오해나 정보 부족은 아마도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족일 경우를 둘러싼 학자금 신청서 접수의 의미 여부일 것이다. 소득이나 재산이 너무 많아서 안 나올 게 뻔한데 굳이 수고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 주된 이유다.



학자금 신청과 가족 분담금(EFC: Expected Family Contribution) = 이런 의구심이 드는 이유는 학자금 지원 규모 결정과 연결된 'EFC'라는 항목 때문이다. 학비를 충당하기 위한 재원 중 이른바 가족이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는 부분을 일컫는 용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득이 높고 여기저기 투자자산도 많고 혹은 소유한 집의 에퀴티가 높은 가정들의 경우 이 가족 분담금이 많게 책정될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물론 FAFSA는 살고 있는 집의 에퀴티는 묻지 않지만 사립학교들의 경우는 이를 묻는 경우가 많다. 어찌됐든 자산이 많고 소득이 높으면 결국 지원금은 극히 적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다. 그러니 굳이 신청을 해야 하냐는 질문이 생기는 것이다.

지난 2015년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 재정현황과 상관없이 일단은 누구나 신청서를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 바 있다.

저널은 그 이유로 소득이나 재산 규모를 기준으로 한 연방정부의 무상 지원금은 받지 못하더라도 학생의 능력이나 재능을 기반으로 한 재정지원이나 각 학교별로 마련된 별도의 재정지원은 받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물론 학교들에 따라 FAFSA 신청 여부와 관계없이 학비보조의 재정적 필요성 이외 기준들을 적용한 재정지원 프로그램을 운용하기도 하지만 많은 수의 학교들은 이 역시 FAFSA 신청 여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이같이 조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한 가지 저널이 언급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입학 사정과의 연결 고리다.

대학들은 파이낸셜 에이드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과 함께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학생들을 적절히 균형있게 받아들이기를 원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별한 재정적 지원이 없이도 해당 대학에 진학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 입학에 유리한 입지를 조성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인 학부모들에게는 무상 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의 소득이나 재산이라 하더라도 일단 FAFSA를 신청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조언이 특별히 설득력을 더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다른 이유들 = 누구나 FAFSA를 신청해두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외에도 더 있을 수 있다. 재정상태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이나 자녀들에게 돈에 대한 훈련을 시키기 위한 보다 고차원적인 목적들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재정상태와 관련해서는 잘 되던 사업이 어려워질 수도 있고 일터가 없어질 수도 있다. 투자자산이 어느 순간 반쪽이 될 수도 있고 주택시장이 얼어붙어 에퀴티도 사라질 수 있다. 내게는 그런 일이 없기를 바라지만 살다 보면 자기 통제 밖의 상황들이 늘 있게 마련이다.

돈에 대한 자녀교육과 관련해서는 무상지원이 안될 경우 융자라도 신청하게 하기 위해서다.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저리의 학자금 융자는 기본적으로 FAFSA를 신청해야 한다.

많은 미국의 부모들이 자녀로 하여금 융자를 받게 하고 이를 스스로 갚아 나가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돈에 대한 책임의식을 길러주려 한다는 것이다. 물론 자녀가 정말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다면 언제든 이를 대신 갚아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적으로 자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돈에 대한 태도와 책임의식을 길러주려는 목적 역시 이른바 '칼리지 플래닝'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재산 숨기기 = 소위 '학자금 재정설계 전문가'들이라고 하는 이들이 고소득 가정에 대해 내놓는 '해결책' 중 생명보험이나 연금으로 재산을 옮기도록 조언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종신형 생명보험 안의 현금이나 연금의 자산은 FAFSA에서 묻지 않기 때문이다.

학자금 신청서에서 묻지 않는다는 것은 지원금 결정에 이들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언뜻 기발한 방법처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오히려 낭패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FAFSA만 필요한 대학에 지원하는 경우라면 이들 재산을 보지 않지만 사립대학들은 CSS 프로파일이라는 별도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데 이때는 생명보험이나 연금 자산 역시 다 공개하고 학비 지원금 결정에 반영될 수 있다.

FAFSA만 필요한 학교라 하더라도 이 같은 자산 이동 방법을 고려할 때는 장단점을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의 자산 처리로 세금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보험으로 옮기려는 자산이 투자자산이나 529 플랜 등 학자금 계정의 자산이라면 세금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런데 보험의 자산도 학자금 사정에 반영하는 학교라면 결과적으로 전혀 도움이 안될 수 있다. 또 어떤 경우는 보험 디자인을 잘못하면 목돈이 들어감에 따라 이후 추가적인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후 재정적 여파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생명보험이나 연금은 잘 사용하면 좋지만 다른 모든 세상사와 마찬가지로 잘못 사용하면 독이 될 수도 있다.

생명보험은 누구나 필요하고 자녀의 학자금 비용은 보험 커버리지 규모를 결정할 때도 반영해야 할 중요한 항목이다.

많은 이들이 실제 필요한 만큼보다 훨씬 적은 보험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보험도 잘못된 목적을 위해 가입하면 부족한 것보다 못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켄 최 객원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