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과거 북한은 ‘강경에는 초(超)강경’으로 맞서는 벼랑 끝 전술을 구사했는데 최근에는 미국의 벼랑 끝 전술을 받아주며 판을 깨지 않겠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판 깨기를 피하면서 대신 2차 정상회담을 제안한 속내를 놓고 체면과 명분에 얽매이지 않고 얻을 건 확실히 얻어내겠다는 ‘1보 후퇴’ 외교술로 보는 시각이 있다. 김영수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금 북한의 모습은 분명 북한 스타일이 아니다”며 “북한이 올해 평화 무드로 가고, 한국이나 미국과 각을 세우지 않기로 큰 틀을 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발 국가로 낙인된 이미지를 바꾸고, 미국과 정치·경제 분야에서 개선을 목표로 하는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종국적으로 원하는 체제보장을 약속할 유일한 주체는 미국인데, 북한 입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체제보장을 해 줄 가능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서 있다는 얘기다. 북한이 지난해 핵 무력 완성을 선언한 뒤 경제에 올인하고 있는 내부 상황도 유화책을 이끌었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대북제재 해제의 핵심 열쇠를 쥐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판단의 결과라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북한은 일부 남북 협상에서도 실리를 위해 자신들의 명분을 일단 유보하는 태도를 보였다. 협상장에선 이산가족 상봉의 전제조건으로 중국 내 북한 식당 여종업원의 송환을 주장했지만 상봉 행사 자체는 중단하지 않았다.
워싱턴 현지에선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국내 정치 난맥상을 이용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수미 테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워싱턴포스트에 “김정은은 트럼프를 조종하는 데 매우 능숙함을 보여줬다”며 “트럼프가 국내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모든 상황을 주시하면서 기회를 노린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내 혼란을 폭로한 밥 우드워드의 신간『공포: 백악관의 트럼프』와 뉴욕타임스의 ‘레지스탕스(저항세력)’ 기고문으로 내부 위기에 봉착한 상황을 노려 정상회담을 다시 얻어냈다는 뜻이다.
◆비건, 주말께 북·미 판문점 접촉 가능성=문재인 대통령은 11일 방한 중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청와대에서 접견하고 최근 고조되는 북·미 간 분위기를 잘 살릴 것을 당부했다. 비건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관측된다. 비건 대표는 이날 외교부를 찾아선 “한국 속담에 ‘시작이 반이다’는 말이 있다고 들었다”며 “이제 시작이고,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일을 마무리짓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국면을 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이 만든 엄청난(tremendous) 기회”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개석상에선 ‘압박’을 거론하지 않았다. 비건 대표는 중국·일본을 방문한 뒤 주말께 한국을 다시 찾는다. 이를 놓고 비건 대표가 판문점을 찾아 북·미 접촉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서울=정용수·전수진 기자,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nkys@joongang.co.kr
전두환 "5·18 북한 개입 처음 듣는다" 더니 회고록선 주장
손석희 19시간 경찰조사 받고 귀가…'사실 곧 밝혀질 것'
27년 순댓국집 접고 인생 2막···65살에 모델 되기까지
'그때 그 조선인들, 일본군에 엄청나게 맞았고 항상 배고팠다'
[서소문사진관]김정은이 태국에? 한·중· 홍콩·호주에 이어 5번째 닮은꼴 등장
'美 비공식 요청으로 아베가 트럼프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
트럼프, '비상사태 풍자' 방송 '매우 부당…조사해야' 비난
"성정체성 의무교육 반대" 내일 등교거부 운동 확산
'십자가형·강제성행위·물고문'…서울 대안학교서 무슨 일이
트럼프 '비상사태' 선포에 소송전 시작…민주당도 반격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