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아름다운 우리말] 쓸개의 어원

우리말의 신체 장기(臟器) 중에서 ‘쓸개’는 흥미롭습니다. 간, 위, 폐, 심장 등은 모두 한자어인데 쓸개는 순우리말이라는 점이 왠지 마음이 푸근해집니다. 물론 폐를 ‘허파’라고 하고 심장을 ‘염통’이라고 하고 위를 ‘양’이라고도 합니다.

‘양’이라는 어휘는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위를 양이라고 하는 예는 ‘양이 크다’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에게 양이 크다거나 작다거나 하는 말을 합니다. 양이 많다거나 적다거나 하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양이 많고 적은 것은 먹는 음식의 양을 말하는 것이지요. 반면 양이 크고 작은 것은 ‘위’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즉, 위가 우리말로 양입니다. 음식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양(量)은 한자어입니다.

염통과 심장의 경우를 보면 한자어와 순우리말의 느낌이 전혀 다른 것 같습니다. 북한에서 한동안 한자어로 된 어휘를 순우리말로 쓰자는 ‘말 다듬기 운동’이 있었습니다. 그때 고민을 안겨준 어휘가 바로 ‘심장’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 북한에서는 ‘혁명의 심장 평양’이라는 표현을 즐겨 쓰고 있었는데, 이를 ‘혁명의 염통’으로 바꾸려니 너무나 어색했던 것이죠. 그래서 느낌이 너무 달라지는 것은 그냥 한자어로 쓰기로 결정을 하게 됩니다.

허파는 활유법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세먼지가 심해져서인지 숲을 탁한 공기를 걸러주는 허파라고 비유하는 표현이 많아졌습니다. 아무래도 숲을 폐라고 비유하는 것은 어색한 것 같습니다. 허파가 더 역동적이고 싱싱해야 한다는 생각에 폐 대신에 허파라는 표현을 즐겨 쓰는 것 같습니다. 한자어와 순우리말은 이렇게 어감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쓸개’는 담(膽), 담낭(膽囊)이라는 한자로 쓰는 게 오히려 어색해 보입니다. ‘담이 크다’든지 ‘담력이 있다’는 말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말 속담에도 쓸개는 자주 등장합니다.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한다’는 말이나 ‘쓸개 빠진 놈’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쓸개 빠진 놈이라는 표현이 줏대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으로 봐서 쓸개는 줏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도 쓸개도 없다’는 표현도 있는데 역시 줏대가 없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죠. 한편 담력이라는 말이나 대담(大膽)하다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쓸개는 용기를 의미하는 장기이기도 하다.

쓸개라는 어휘는 ‘쓰다’와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쓸개의 맛이 아주 쓰기 때문입니다. 방언에서는 ‘쓰레(전남 방언)’라는 표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개’가 명사형으로 붙어있는 어휘를 보면 주로는 리을 받침의 어간입니다. ‘날개, 깔개’와 같이 말입니다. 따라서 쓰다가 ‘쓸’로 변하는 것과 유형과는 다릅니다. 이렇게 변하는 유형을 찾아야 쓰다와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우개, 따개’처럼 어간에 ‘개’가 붙는 게 일반적입니다. 계속 고민이 필요한 어휘입니다.

쓴맛의 쓸개가 용기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잠깐 생각을 해 봅니다. 쓴맛도 맛 중에서는 중요한 맛입니다. 쓰다고 필요 없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오히려 쓴맛에 빠지면 그 맛을 더 즐기기도 합니다. 커피의 맛이나 나물 중에서 씀바귀를 생각해 보면 그렇습니다. 쓰디쓴 일이 많은 세상에서 쓸개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용기를 내야겠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