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 네트워크] 한국과 미국 청중의 차이

이제는 듣지 않아도 알 것 같은 답이 있다. 세계적 연주자들이 내한했을 때 누군가 "한국 청중에 대한 기억은 어떤가"라 물으면 십중팔구 나오는 답변이다. "유럽에는 나이 든 청중이 많은데 한국은 젊은 관객이 많아 깊은 인상을 받았다."(테너 이안 보스트리지) "한국 클래식 청중은 팝스타 공연에서와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피아니스트 헬무트 도이치)

유럽과 미국 공연장의 객석은 은빛이다. 은발의 노인 청중이 대부분이지만 한국의 객석은 검다. 대부분의 청중이 젊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조사한 결과 지난해 클래식 공연의 유료 청중 중 50대 이상은 10%, 20대와 30대를 합하면 47%다.

몇 년에 한 번씩 한국 무대에 서는 외국 연주자들은 '활기차다' '역동적이다' '열정적이다'라는 표현을 한국 청중 앞에 붙인다. 필자를 비롯한 국내 언론들은 이걸 찬사로 알아듣고 기사에 인용해 퍼뜨린다. 과연 칭찬일까.

나이든 청중이 왜 없을까를 생각해 보는 것이 우선이다. 노후에 문화를 즐기지 못하는 것은 비극이기 때문이다. 소득이 많을 때 공연장을 찾다가 은퇴 후에는 가지 못하거나 않는 것이 미래라면 섬뜩하다. 우리의 생애주기별 소득 수준과 공연 티켓 가격이 맞지 않는 것은 아닐까. 또한 객석에 은발이 없다는 건 오래된 단골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젊은 청중이 또 다른 젊은 청중으로 물갈이되는 것을 활기 차다며 기뻐만 할 수는 없다. 게다가 음악은 미술과 달리, 듣고 나면 손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젊은이가 늙을 때까지 이미 들은 곡을, 소장할 수도 없는데 또 듣게 만드는 일에 한국의 음악 공급자들은 실패했다.



좋은 뜻으로 건넨 말이 반드시 칭찬은 아니다. 오히려 함정에 가까울 수 있다. 위에서 인용한 통계가 정직하게 경고하는 바에 따르면, 클래식 공연의 작품당 평균 티켓 판매는 82장이었다. 음악을 듣는 사람들은 젊어야 좋은 게 아니고, 고르게 많아야 좋다. 이 당연한 사실은 클래식 음악뿐 아니라 모든 공연에 적용된다. 지난해 클래식과 뮤지컬·연극·무용을 다 합해 20·30대 청중은 68.3%, 50대 이상은 6.1%였다.


김호정 / 한국중앙일보 문화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