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구수하고 진하네…'콜드브루' 커피 떴다

커피 시장 돌풍 일으킨 신메뉴

원두 갈아 찬물에 오랜 시간 우려
카페인 많지만 시고 쓴맛 적어
2030 직장인 애호가 폭발적 증가
커피전문점들도 앞다퉈 메뉴 개발
생맥주처럼 거품낸 '니트로'도 나와
맥주·소주와 섞은 칵테일도 즐겨


요즘 '콜드브루(cold brew)'가 뜬다.

콜드브루는 '차갑다'는 뜻의 '콜드(cold)'와 '끓이다, 우려내다'를 의미하는 영어단어 '브루(brew)'의 합성어로 '차가운 물로 우려낸 커피'라는 뜻이다.

일반적인 아메리카노 커피는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90도 이상의 고온.고압으로 추출한 커피에 물을 타서 만든다. 반면 콜드브루는 차가운 물로 추출하기 때문에 제조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열 손상을 최소화해 쓴맛이 적고 부드러운 맛을 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콜드브루 이전에는 '더치커피(Dutch coffee)'가 소개됐다. 실온에서 찬물로 오랜 시간에 걸쳐 내린 커피다.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콜드브루와 더치커피는 거의 같다. 그런데 더치커피는 생소한 방식에다 실온, 찬물 추출 등에 따른 위생 논란까지 생겨 자리를 잡지 못했다.

콜드브루는 가격이 커피숍 절반인데 맛은 진하고 카페인 함량도 높다. 점심 먹고 나른할 때 꼭 한 잔 하면 좋다. 앰플을 활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만들어 마실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앰플을 이용해 여러 커피를 만드는데 맥주를 넣어 콜드브루 비어를 마시고 소주 등과 섞어 모히토를 즐기기도 한다.

스타벅스의 경우도 최근 일부 매장에 콜드브루 제품을 내놓으면서 콜드브루 열풍에 가세했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바리스타들이 하루에 14시간씩 한정된 양을 우려내고 있다"며 "공급량이 부족할 정도로 기대 이상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의 경우 할리스, 셀렉토 커피 등 다른 커피전문점들 역시 이 커피를 취급하고 있다. 특히 셀렉토 커피, 이디야 커피랩 등은 질소 가스를 주입해 마치 생맥주처럼 풍성한 거품이 있는 '니트로(질소) 콜드브루'라는 특이한 제품도 내놓았다.

콜드브루 전문기업인 핸디엄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콜드브루를 즐길 수 있도록 RTD(ready to drink.바로 마시면 되는 음료) 커피인 '더치커피워터'와 '콜드브루커피 블랙' '라테'를 출시했다. 이 중 '더치커피워터'는 스페셜티 등급의 예가체프와 케냐 싱글오리진 원두로 추출한 원액을 물에 희석해 부담 없이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커피 음료란 설명이다.

회사원 정희영(29)씨는 "요즘엔 동료들과 점심 후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는 대신 사무실 안에서 콜드브루를 이용한 커피를 즐긴다"고 말했다.

하지만 콜드부르를 이용할 때는 주의할 점도 있다. 콜드브루의 카페인 함량이 일반 아메리카노 커피와 거의 비슷하거나 높기 때문이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콜드브루와 제조방식이 거의 같은 더치커피의 평균 카페인 함량은 1.7㎎/mL로 일반 커피전문점의 아메리카노 커피(0.4㎎/mL)보다 4배 이상 높다. 또 더치커피 원액을 물과 1대 3 비율로 섞어 마실 경우(희석액 350 mL) 카페인 함량도 평균 149㎎으로 아메리카노 한 잔(350mL)에 들어 있는 카페인 140㎎보다 많다.

카페인 하루 섭취 권고량은 성인 400㎎, 임신부는 300㎎ 이하라 두 잔 넘게 마시면 권고량을 넘어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임신부나 카페인 민감자는 콜드브루를 섭취할 때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저온에서 장시간 추출하고 숙성하기 때문에 자칫 원두와 물, 추출 기구 등이 오염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소비자원의 설명이다.

☞음식상식 커피란 이름은 에티오피아 '카파'에서 유래

커피의 유래에는 다양한 설이 있다. 이 중 '칼디의 전설'이 가장 유명하다. 에티오피아의 칼디라는 목동이 염소가 빨간 열매를 먹고 흥분하는 모습을 본 뒤 직접 먹어본 게 커피 열매였다고 한다. 그러자 피곤함도 가시고 정신이 맑아졌다는 것이다. 커피라는 명칭도 에티오피아의 커피 산지인 카파(Kaffa)에서 유래했다는 게 통설이다. 한국에는 1880년대 전후에 도입됐다고 전해진다.


조한대·김준영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