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데스크 칼럼] 달라져야 할 '친한파'의 뜻

캘리포니아주 영 김 연방하원의원(공화.39선거구) 후보가 우편.임시 투표 집계에서 판세가 뒤집혀 떨어졌다. 한인 연방의원은 두 사람이 아니라 뉴저지주 앤디 김 의원(민주.3선거구) 한 사람만 뽑혔다. 중간선거에서 두 후보는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

영 김 후보는 처음부터 우세가 점쳐졌다. 이유는 지역 터줏대감인 공화당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과 20년간 함께 일한 경력과 함께 은퇴하는 그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1993년부터 의원이 된 로이스 의원은 하원 외교위원장을 지내며 대표적인 '친한파' 의원으로 불렸다. 이유는 의회 내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을 맡으며 위안부 결의안과, 대북제재 법안 통과를 이끄는 등 한국 관련 활동에 앞장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친한파' 의원의 지원은 '반트럼프' 바람을 꺾지 못했다. 공화당 텃밭이었던 선거구는 아시안과 라티노가 3분의 2에 달하는 이민자 지역이 됐고, 반이민정책으로 백인 표를 긁어 모으는 공화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전략은 영 김 후보에게 '독약'이 됐다.

반면 앤디 김 후보는 현 공화당 의원에 맞서 '반트럼프' 바람을 타고 당선됐다. 영 김 후보와 달리 앤디 김 후보는 애초 승산이 없다고 판단되던 지역에서 역전극을 벌였다. 트럼프 정책에 반대하는 진보적인 벌링턴카운티에서 몰표를 던져 그를 연방의회로 보냈다.



의회에서 '친한파' 의원이라는 뜻은 본래 '친한국' 그리고 '친한국정부'란 말이다. 이제는 그 뜻이 달라져야 한다. '친한파'는 '친한국'인 동시에 '친한인사회'여야 한다. 그리고 한인사회가 몸담고 있는 '친이민사회'여야 한다.

이전 공화당은 꼭 '반이민사회' 정당이라고 부를 수는 없었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친부자' 정당이라는 비난은 받아 마땅했지만 1986년 로널드 레이전 공화당 대통령 시절 서류미비자 270만 명에게 합법 신분을 주는 등 이민사회를 배척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 중반부터 선거에서 '반이민' 전략을 쓰기 시작했다. '반이민'은 '반소수계' '반낙태' '반동성애'와 함께 공화당이 백인 서민들의 표를 끌어 모으는 주요한 반찬이 됐다.

지난 선거에서 영 김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거리를 두려고 애썼지만 결국 공화당의 굴레를 벗지 못했다. 과거 '친한파' 의원은 공화당에도 많았다. 하지만 이제 '친한인.이민사회' 의원은 공화당에서 보기 힘들다. 이곳 한인들에게 '칼질'을 하는 의원이 '친한국'이라고 해서 무슨 소용이 있나. 앞으로도 공화당 소속으로 정계에 진출하려는 한인들은 이 사실을 뼈아프게 느껴야 한다. 몸담고 있는 정당의 반이민.소수계 정책에 '악을 쓰며' 비판을 하지 않고서는 이민사회 유권자들의 차가운 눈길을 피할 수 없다.


김종훈 / 편집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