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 과학자의 세상 보기] 분단의 역사

언론지상에 다음달에 개최되는 평창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벌어지는 남북한 간의 밀고 당기기가 많이 오르는 것 같다. "스포츠를 통해서 심신을 향상시키고 문화와 국적 등 다양한 차이를 극복하며 우정, 연대감, 페어플레이 정신을 가지고 평화롭고 더 나은 세계의 실현에 공헌하는 것" - 근대올림픽의 아버지라는 프랑스의 쿠베르텡 남작이 주창한 올림픽 정신이다. 올림픽이 정치의 장이 되는 것은 좀 그렇지만 그렇게라도 남북간 대화가 이어지고 평화를 구현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올림픽 정신에 부합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당초에 남북이 갈라지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남북이 지출하고 있는 막대한 국방비를 줄여, 다른데 예를 들어 과학기술연구비나 복지비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바램을 나만 가져본 것은 아닐것이다. 1945년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때 국제사회는 한반도가 신탁통치령 (United Nations Trust Territories)이 되는 것을 결정하였다. 필자가 일하는 곳이 마침 북위 38도 선상이다. 조금 남쪽의 샌프란시스코는 38도와 37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그 38선을 경계로 한반도의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진주하며 지리적 분단이 이루어졌다. 이후 남북에 각각 단독정부가 들어서면서 정치적 분단까지 되어진게 1948년, 70년 전의 일이다.

필자의 친족은 남쪽에 자리잡고 있어 천만다행으로 분단의 고통을 직접 겪지않았다. 다만 예전에 파주통일전망대에 가서 방명록에 남겨진 눈물나는 사연들을 읽어본 적이 있다. 미국에 살면서 노상 고향에 계신 부모님, 형제자매를 그리워하는 나로서는 이산가족분들의 한을 아주아주 조금이지만 느낄 수 있을 듯하다.

사실 아주 오래전에도 한반도의 남북이 갈라질 뻔 했던적이 있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일본이 조선을 침공하면서 내걸은 구실이 정명가도 (征明假道), 즉 중국 명나라를 치러가는데 길을 빌린다라는 것이었다.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7년간에 걸쳐 왜군은 조선의 남부만큼은 차지하려고 안간힘을 썼다. 조선-명나라 연합군과의 강화회담에서도 조선 8도 중 남쪽 4도를 차지하겠다는 것이 그들이 내세운 중요협상조건이었다. 대륙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야망 때문이었다.



구한말에는 한반도를 두고 중국청나라-러시아-일본 등의 제국주의 강대국들이 각축을 벌였다. 청나라가 일본에게 패하고 (청일전쟁 1894-1895) 주도권을 잃자 불안해진 러시아는 한반도의 북쪽, 구체적으로 38선 이북을 러시아-일본 사이의 완충국가 (Buffer state)로 삼자는 제안을 했다. 하지만 일본이 러일전쟁 (1904-1905)에서 뜻밖의 압승을 거두면서 결국 단독으로 한반도를 식민지로 삼게된다.

따지고 보면 한반도 분할과 신탁통치를 결정한 1945년의 모스크바3상회의도, 한국전쟁 (1950-1953)이 애당초 시작했던 38선과 엇비슷한 휴전선에서 멈춘것도 (끝난게 아니다) 결국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미-일-중-러 강대국들이 펼친 이해득실 계산의 결과물이다. 이것은 21세기에 와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남북통일은 대한민국 헌법에 규정되어있는바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모든 국민이 포기할 수 없는 의무이다. 이는 개헌의 대상조차 될 수 없는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지금 시점에서 대한민국이 북한을 국력면에서 압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독일통일처럼 남한위주의 흡수통일이나 심지어는 두 국가연방 같은게 우리가 바라는 대로 가능할까? 세종대왕이 물려주신 남북한의 영토범위를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을까? 두어해 전에 중국의 <북한 분할안> 이라는 것이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통일후 북한지역을 한-미-중-러가 나누는 통치한다는 안이다. 또 중국이 북한에 친중국 정권을 세워 중국의 위성국가 겸 한-미세력과의 완충국가로 삼는다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생각할수록 안타깝고 복잡해지는 것이 남북통일문제이다. 치밀하고 냉철하게 준비하고 접근해야할 과제이다. 독일통일 때 <서독> 처럼 국제사회에서 강한 발언권을 가질 수 있게 대한민국이 국력의 신장에 더욱 힘쓰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최영출 (생명공학 박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