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파이낸셜 타임스가 분석한 의약품 가격 정보 데이터에 따르면 화이자를 비롯한 제약회사들은 지난 1일 1천300개가 넘는 약품의 정가를 일제히 올린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최대의 단일 제약회사인 화이자는 148개의 약품의 평균 도매가격을 6∼13.5% 인상했다.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와 신경통 치료제인 리리카 같은 유명 약품도 포함돼 있고 평균 인상폭은 8.5%에 이른다.
화이자 외에 앨러간, 글락소스미스클라인, 길리어드, 샤이어, 바이오젠, 테바, 백스터 등 유명 제약회사들도 약값 인상 대열에 합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제품의 인상폭은 10%를 넘지 않지만 현재 2.2%인 미국의 물가상승률을 몇 배 가량 웃도는 것이었다. 일부 약값은 두 자릿수의 인상률을 보였다.
영국 제약회사인 히크마는 모르핀 주사제의 가격을 75∼90% 인상했다.
특히 화이자의 가격 인상은 지난해 1월과 6월에 뒤이은 것으로, 불과 1년여 만에 3차례나 가격을 올린 셈이다. 이 회사는 지난 6월 91개 약품의 정가를 인상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리리카 100㎎ 캡슐의 가격은 지난해 1월1일 7.59달러였으나 현재는 9.81달러의 정가가 매겨져 인상폭은 29%다. 비아그라 100㎎ 태블릿의 가격은 57.94달러에서 80.82달러로 상승해 39%의 인상폭을 기록했다.
처방 의약품의 가격 정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Rx 세이빙스 솔루션은 새해 첫날 모두 1천300여개의 약품 가격이 오른 것으로 파악돼 이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Rx 세이빙스의 마이클 리어 최고경영자(CEO)는 “제너럴 모터스가 트럭 가격을 다년간 물가 상승률보다 4배나 올렸다면 트럭을 전혀 팔지 못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미국은 제약회사들에는 최대이자, 수익성이 가장 높은 시장이다. 그러나 지나친 약값은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고 대선 당시에도 공화·민주 양당 후보들로부터 공격을 받은 바 있어 이번 약값 인상은 정치적 역풍을 초래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화이자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신중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해명하면서 대부분의 자사 약품 가격은 변동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화이자가 약품 구입에 애로가 있는 환자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난해처럼 올해 6월에도 재차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100년 미국' 산산조각 냈다, 트럼프 탄핵 위기는 자업자득
"집사님, 바로 당신 같은 사람이 '파시스트' 입니다"
바이든 행정부 경제정책 키워드는 '일자리 회복'
한인타운 업소에 대낮 권총강도…동일범 소행 범죄 신고 잇따라
'USA' 유니폼에 딱 걸렸다, 의회 난동 '금메달리스트'의 눈물
1400불 지급 시기 다음주에 윤곽…탄핵 절차에 따라 늦춰질 수도
"미국 민주주의 살아있다" 단합 외친다
트럼프 '새 행정부 성공 기원'…의사당 사태엔 '폭력 용납 안돼'
냉동트럭에 시신 보관…한인 장례업체 비상
트럼프 美 대통령 임기 마지막 날, 백악관엔 으스스한 정적만 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