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인 이민역사를 쓴다] "커뮤니티에 기반한 인재 키워야" 김동찬 시민참여센터 대표

1995년 출범 '한뜻 열린마당'에서 시작
풀뿌리 인턴십 통해 정체성 함양 노력

위안부 결의안·기림비 등으로 결실 맺어
"현재 한인 커뮤니티의 최대 이슈는 이민"



'풀뿌리 운동.' 지금은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말이지만 약 20년 전부터 한인사회 속에서 이를 실천해 온 단체가 있다. 바로 시민참여센터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항상 김동찬(51) 대표가 함께했다.

김 대표가 시민참여센터 활동을 하면서 항상 염두에 둬 온 것은 자녀 세대에게 '코리안 아메리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과 커뮤니티에 기반한 인재를 육성하는 일이다.

그는 "개인의 역량으로 주류사회에 진출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커뮤니티와 이완돼 버린다"며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해서 주류사회에 진출하는 사람을 키우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만 커뮤니티의 정서를 이해하고 커뮤니티를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런 이유로 김 대표는 "나중에 은퇴하더라도 사람을 키우는 일을 계속 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커뮤니티의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커뮤니티 이슈를 주류사회와 정치인들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커뮤니티에 기반한 인재"라며 "이런 인재 양성을 조직적으로 해야 전체적인 시각에서 커뮤니티에 방향을 제시할 리더십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이런 리더십 부재를 대표적으로 보여준 사례가 1992년 LA 폭동이다. 커뮤니티에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극복하게 할 수 있는 리더십이 없었다는 것.

한인사회 내에 이런 억압에 맞설 힘과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것이 김 대표의 진단이다. 즉, 한인 커뮤니티의 전반적인 전략을 세우고 필요할 경우 법률적으로도 방어하며 전략적 조직화를 해 나갈 사령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십을 갖춘 커뮤니티 기반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지만, "기금만 쫓다 보면 정체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기금에 맞는 정체성이 규정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입장이다. 우리는 결국 '코리안 아메리칸'이기 때문에 소수계.이민자 등의 정체성 만으로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는 없다는 것.

김 대표에 따르면, 바로 이것이 시민참여센터가 풀뿌리 인턴십 프로그램에 주력하는 이유다.

여러 시민참여 활동을 하면서 정체성 교육과 커뮤니티에 대한 애착심 함양이 이뤄지고 어젠다 세팅과 이슈화 훈련이 된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시민참여센터의 대표적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연방의회 위안부 결의안 채택도 "풀뿌리 운동을 통해서 시민참여 활동을 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세계 최초로 뉴저지주에 위안부 기림비를 세울 수 있었던 것도 풀뿌리 인턴십 활동의 성과며, 버겐카운티 유권자 등록 용지의 한국어 번역과 수정 작업도 시민참여센터 인턴들의 활동 결과"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현재 한인 커뮤니티의 가장 큰 이슈는 이민 문제"라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정서는 백인들이 정체성을 되찾기 위한 운동을 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앞으로 10년 이상은 커뮤니티에서 이민 이슈로 방어할 일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이민 이슈의 본질이 백인들의 정체성 문제와 연결되는 만큼 불법체류자뿐만 아니라 영주권과 시민권을 취득하려는 합법 이민자들도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가 이처럼 정체성 교육과 풀뿌리 활동에 주력하게 된 것은 시민참여센터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 때문이다.

시민참여센터는 원래 1995년 맨해튼 소호 빌리지 인근의 직장에 다니던 한인 20~30대 맞벌이 부부가 중심이 돼 결성한 '한뜻 열린마당' 모임에서 출발했다.

처음 모임의 취지는 부모들이 일을 나가야 하는 가정의 아이들이 토요일에도 방치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글 교육을 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었다.

1994년 퀸즈칼리지로 유학을 왔던 김 대표도 이 모임을 우연히 알게 돼 참여하게 됐는데, LA 폭동을 즈음해 뉴욕에서도 한.흑 인종 갈등이 불거지면서 인종차별과 갈등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 미국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게 됐다는 것.

김 대표는 "결국 한인들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과 가장 좋은 방법이 유권자 등록이라는 결론에 도달했고, 상설적인 유권자 단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1997년부터 시민참여센터의 전신인 뉴욕·뉴저지한인유권자센터가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2년에는 유권자 등록의 다음 단계인 시민참여(civic engagement)를 통해 목소리를 내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단체 이름도 시민참여센터(KACE)로 변경했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위안부 결의안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풀뿌리 활동의 위력을 실감하게 됐고 풀뿌리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이름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칭 변경 후에는 풀뿌리 활동을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으로 커뮤니티에 기반한 인재를 육성하는 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박기수 기자 park.kisoo@koreadailyn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