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서브프라임 모기지' 돌아왔다

최근 '넌프라임'으로 변형
프라임 이하 신용자 대상
상환 능력 확인없이 융자

부동산 시장의 거품설이 제기되는 가운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이 다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낳고 있다.

CNBC는 올해 넌프라임(Nonprime) 모기지 융자 규모가 10억 달러에 이르고 파생상품인 넌프라임 모기지담보증권(MBS) 발행액도 30억 달러로 예상되는 등 넌프라임 모기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넌프라임 MBS 발행액은 예상치 20억 달러에 비해서 10억 달러나 많은 규모다.

넌프라임 모기지란 말 그대로 신용도가 프라임(우량고객) 이하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모기지 융자다. 서브프라임이 금융 위기의 주범으로 몰려 이미지가 좋지 않자 넌프라임이라는 말로 대체됐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넌프라임 융자 업체들은 아직 신용을 쌓지 못한 이민자나 파산, 주택차압, 숏세일 등으로 인해 크레딧이 나빠진 고객들을 주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낮은 신용도로 인해 웰스파고나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들로부터 융자를 받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넌프라임 융자 업체들이 융자 신청자의 대출 상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세금보고서나 월급명세서 등 소득 증명 서류를 요구하는 대신 융자 신청자의 말만 듣고 융자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다.

심지어 일부 신청자는 모기지 융자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하는 사례도 있다는 것이다.

또 일부 융자 업체들은 초기에는 페이먼트를 적게 내도록해 채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 우려되는 상황은 넌프라임 시장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는데 트럼프 정부는 이를 규제하는 도드-프랭크법의 철폐나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이를 규제할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의 기능을 약화시켜 과거 서브프라임 사태의 악명이 재연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나 부동산 시장 상황이 급변해 융자 상환 불능상태가 발생할 경우 부동산시장 침체와 금융위기가 다시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진성철 기자 jin.sungcheol@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