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트럼프 정신감정 받아야 … 김정은과 폭력 성향 비슷"

밴디 리 예일대 교수 e메일 인터뷰
충동성·무모함·피해망상 관찰돼
문장 구성력 떨어지고 동어반복

미국 대통령은 최고 권력자다. 외교.무역 등 세계 질서에 큰 영향력을 끼치며 4년 임기 내내 각국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한다. 자국 보유 핵미사일의 발사 권한도 갖고 있다. 취임 1주년을 맞는 미국 45대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 최근 정신건강 논란에 휩싸인 그의 정신감정 필요성을 일찌감치 주장해 온 미국 전문가가 있다. 한국계 정신과 전문의인 밴디 리(한국명 이반디.사진) 예일대 정신의학과 교수다.

리 교수는 지난해 10월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신과 전문의들의 분석이 담긴 『 위험한 도널드 트럼프 』 를 펴낸 데 이어 지난달엔 미 상.하원 앞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 상태는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리 교수는 18~19일 중앙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내 입장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다"며 "특히 폭력적이라는 점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심리 상태가 상당히 유사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신감정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쉽게 폭력적인 성향을 드러낸다. 그의 과거 폭력성을 비춰보면 추후 그가 드러낼 폭력성도 예측할 수 있다. 과격한 성적 표현을 썼고 지지자들을 폭력적으로 선동하기도 했다. 핵무기를 내세워 적대국을 조롱한 적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충동성 무모함 피해망상 등 폭력성과 연관된 특성이 여럿 관찰됐다. 대통령 업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중요한 정보와 조언을 받아들이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지 항상 의심스러웠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그 결정이 초래할 결과를 가늠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어떤 점이 두드러졌나.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에 걸쳐 말할 때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한다. 노화 현상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치매 가족력 좋지 않은 식사 습관 등을 고려했을 때 추가적 조사가 정신건강 감퇴로 의심되는 것들에 대해 밝혀줄 것이라고 본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對北) 입장에 변화가 심했다. 김정은의 '핵 단추' 신년사 발언에 대해 "나는 더 크고 강력한 핵 버튼을 갖고 있다"고 응수했고 일주일 뒤에는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입장을 바꿨다.

"그는 발언을 하거나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추후 벌어질 결과에 대한 감을 잡지 못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저 순간순간의 만족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다. 문제는 이런 경향으로 인해 정책과 이념 등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정신건강은 비교 가능한가.

"매우 폭력적이란 공통점이 있다. 난관을 폭력으로 해결하려고 든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최근 이들은 매우 위험한 수위의 대화를 주고받았는데 이는 '힘으로 모든 걸 해결한다'는 서로의 공통적인 세계관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당신은 미국에서 나고 자랐다. '한인 2세'로서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통령에게 정신감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이유는.

"할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서울대 의대 학장직을 사양하고 극빈층에 평생 의료봉사를 했던 이근영 박사다. 그 영향으로 의사가 된 뒤로 항상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을 느껴 왔다."

-미 의료계 일각에선 당신이 '골드워터 룰(직접 진단을 하지 않은 채로 공인의 정신을 감정하는 행위를 금지한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내 주장에 대해서는 이미 공감대가 퍼져 있다. 다만 윤리적인 측면에서 일부 의사가 내게 반대 목소리를 내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정신과 의사는 공중(公衆)의 건강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는 미 의학 윤리 원칙을 더 강조하고 싶다. 대통령의 정신건강을 감지하고도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주저한다면 '잠재적 피해자'인 대중에게 '경고할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다. 침묵은 위험한 정권과 공모(共謀)하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밴디 리 교수는=현재 미 예일대 의학법 및 정신의학부 임상교수로 재직 중이며 '폭력성'에 대해 세계적인 전문가로 꼽힌다. 하버드대.뉴욕대.예일대 등의 폭력학센터 연구소장을 지냈고 UN.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 및 프랑스.아일랜드 정부에 컨설팅을 했다. 미 예일대 하버드대에서 의학과 정신건강학을 전공했다.


조진형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