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미국서도 고전하는 현대차 … 점유율 8년 만에 최저

SUV 대세인 시장 변화 대응 못해
올해 누적 판매량 10.2% 급감
한·미 FTA 재협상 등 악재 이어져
“코나·제네시스 G70 출시로 만회”

현대·기아자동차의 고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미국 상황이 여의치 않다. 지난달에도 판매가 많이 감소하며 8년 만에 가장 낮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사드 보복’으로 최악의 부진에 빠진 중국 시장보다 오히려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미국에서 5만7007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6만6610대)보다 14.4% 판매량이 감소했다. 기아차가 지난해 동기(4만9220대) 대비 6.6% 많은 5만2468대를 판매하는 등 선전했지만, 현대·기아차 전체를 놓고 보면 5.5%가 감소한 수치다. 1~9월까지 누적 판매량도 96만9천670대 지난해 같은 기간 107만9452대보다 10.2%나 줄었다. 판매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것이다.

시장 점유율 변화를 살펴보면 하락세가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올해 9월까지 누적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 현대·기아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7.5%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8.2%에서 0.7%p 떨어졌다. 이는 2009년 7% 점유율을 기록한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쟁사와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점유율 순위는 여전히 7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6위인 혼다와 차이가 지난해 1.2%포인트에서 2.1%포인트로 커졌다.

수치만 놓고 보면 9월까지 누적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41.6%나 줄어든 중국 상황이 미국보다 심각하다. 그러나 업계에선 미국 시장 부진이 오히려 더 뼈아플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드 보복 사태와 같은 외부 악재가 아닌 현대·기아차의 경쟁력 약화가 가장 큰 원인인 데다, 바닥을 치고 조금이나마 반등의 기미가 보이는 중국과 달리 미국 시장은 더 나빠질 수도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에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인기를 끌고 있고, 픽업트럭의 성장세도 견고한 반면 세단은 하락세다. 현대·기아차의 지난달 판매량을 봐도 SUV인 투싼은 지난해 동기 대비 38% 판매가 증가했지만, 주력 세단인 쏘나타는 35.6% 감소했다. 현대·기아차도 소형 SUV 코나와 신형 싼타페·투싼을 차례로 투입할 예정이지만 긴 시간 세단에 집중해 온 만큼 단기간에 시장 변화를 따라 잡기가 버겁다. 픽업트럭 출시는 소문만 무성할 뿐 정확한 출시 계획은 아직도 묘연하다.

때문에 시장 상황이 나아져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총 152만6000대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3% 증가했다. 그리고 현대·기아차와 달리 도요타와 혼다·닛산·미쓰비시 등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누적 판매량은 모두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이런 추세가 더 반복되면 시장 자체가 침체됐다는 핑계도 더 이상 대기가 어려워 진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예전엔 기술이나 트렌드의 주기가 길어 늦게나마 따라가기라도 하면, 즉 ‘패스트 팔로워(Fast-follower)’라도 되면 몇년 정도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시장·기술 변화가 이를 따라 잡는 속도보다 더 빠르다. 뒤늦게 SUV나 픽업트럭 라인업을 갖췄을 땐 이미 상황이 달라져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구조적인 문제가 더해질 여지도 있다. 아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에 따른 정확한 손익계산을 하기는 어렵지만, 폐기까지 언급되는 상황이 현대·기아차에 달갑지 않은 건 분명하다. 이 교수는 “한·미 간의 자동차 판매는 무역 장벽 같은 제도의 문제 보다는 정서적인 선호 문제가 더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동안 얘기만 많았지 별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어디로 튈지 모르는 트럼프 정부는 실제로 부당한 조치를 취하게 될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미국 판매 모델 중 상당수가 출시된지 오래된 모델인데, 코나와 제네시스 G70 등 신차들이 출시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FTA 재협상과 관련해선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만, 애초에 FTA로 인해 판매가 갑자기 늘어난 상황은 아니었기 때문에 사드 보복처럼 심각한 악재가 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