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콘스탄츠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과 막스 플랑크 동물행동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동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대머리호로새(Acryllium vulturinum)의 생태를 연구해 얻은 이런 결과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에 실었다.
대머리호로새는 닭목 호로새과의 조류로, 연구팀은 케냐에서 개코원숭이의 생태를 연구하다가 주변을 배회하는 이 새가 개코원숭이 못지않은 사회적 습성을 갖고있는 것을 보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동물의 다층 사회는 암수 한 쌍을 비롯한 사회적 단위의 개체가 안정적으로 무리를 이루고 다른 무리와 관계를 맺는 것으로, 각 개체가 자신의 무리는 물론 다른 무리와의 관계를 기억하고 있어야 해 두뇌가 발달된 종에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조류 중에서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종이 있지만 무리에 참여하는 개체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다른 무리와의 관계도 부족한 것으로 관측돼 왔다.
연구팀은 케냐 난유키의 음팔라연구센터에서 총 441마리의 대머리호로새를 대상으로 사회적 습성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대머리호로새가 총 18개 무리로 나뉘어 있는 것을 파악했으며, 각 무리에서 한 마리 이상씩 총 54마리에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부착해 각 무리 간 위치를 매일 24시간씩 1년간 관찰했다.
그 결과, 무리 생활을 하는 다른 조류들이 이 무리 저 무리 왔다 갔다 하는 것과 달리 대머리호로새는 한 무리에 포함돼 안정적으로 무리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밤에는 나무 주변에 수백마리가 함께 모여 있다가 낮에는 거의 완벽하게 소그룹으로 나눠 생활했다.
문정인 '한국, 미국 편에 서면 한반도 평화 담보 어려워'
'뒤끝' 트럼프 '부인 장관도 시켜줬는데'…공화 원내대표에 욕설
타이거 우즈 차 사고 때 약병 발견…WP '특혜 조사 의문 증폭'
'돌아가서 개나 먹어'…손흥민, 맨유전 뒤 SNS서 인종차별 피해
고비 넘긴 노태우…아들이 "광주 갈까요?" 물으면 눈 깜빡
백악관 초대장 받은 삼성전자, '20조원' 미국 투자 속도 내나
200kg 거대 악어 뱃속 보니…24년전 사라진 반려견 인식표
선거참패뒤 文지지 33.4% 역대 최저, 국민의힘 39.4% 최고[리얼미터]
LG-SK 극적 합의···바이든 2조짜리 '조지아 고민' 해결됐다
미 前 FDA국장 “미국 3주 뒤면 백신 공급이 수요 앞지를 것”